리사앤마르코 식물, 정원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리사앤마르코 식물, 정원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55)
    • The Plant (91)
      • Exploring Plants (85)
    • Garden, Botanical garden, A.. (108)
      • All about CHOLLIPO (17)
      • Plants-related Issues (8)
      • Tree Doctor (51)
      • Agriculture (4)
    • Our life and Plants (30)
      • Lisa's Writing (24)
      • Marco's drone play (6)
    • Gardener's diary (6)
      • Portfolio (6)
    • We are what we consume (18)
      • What we eat (5)
      • How to read (13)

검색 레이어

리사앤마르코 식물, 정원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수목생리학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6 스트레스생리

    2022.05.02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5 조림과 무육생리

    2022.04.29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4 식물호르몬

    2022.04.29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2 유성생식과 개화생리

    2022.04.26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1 무기염의 흡수와 수액상승

    2022.04.18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0 수분생리와 증산작용

    2022.04.18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9 산림토양과 무기영양

    2022.04.15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8 지질대사

    2022.04.14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7 단백질과 질소대사

    2022.04.13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6 탄수화물 대사와 운반

    2022.04.13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5 호흡

    2022.04.11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4 광합성

    2022.04.07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3 햇빛

    2022.04.07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2 수목의 생장

    2022.04.05 by 리사앤마르코 _ LNM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 수목의 구조

    2022.04.04 by 리사앤마르코 _ LNM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6 스트레스생리

1. 스트레스의 뜻과 요인 부족수준(deficient level) : 투여량(does)이 증가할 때 식물의 반응이 증가하는 구간. 적정수준(optimum level) : 수준증가에 따라서 최대한의 반응을 나타내는 최소한의 수준. 인내수준(tolerance level) : 수준이 증가할 때 반응이 증가하지 않는 구간. 유독수준(toxicity level) : 추가적인 수준증가가 반응의 감소를 가져올 때. 최소법칙 : 부족한 요인에 의해 생장이 결정되는 현상 제한요소 : 이 때 부족한 요인 2. 고온 지질을 함유한 원형질막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식물이 생리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임계온도(최고온도와 최저온도 사이)의 범위가 좁아짐. 고등식물의 세포가 견딜 수 있는 온도 한계선은 대게 50~60℃ 가량...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5. 2. 09:56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5 조림과 무육생리

1. 경쟁 임분내 수목은 경쟁으로 인하여 생장이 둔화되더라도 수고생장은 어느정도 수준을 유지하지만, 직경생장은 급격히 감소함. 1) Phytochrome의 역할 광선이 임관을 통과하면서 적색광이 주로 흡수되고, 원적색광이 아래로 내려오게 됨. 임관 밑에서 자라는 식물은 잎에서 Pfr이 제거되며, 수간의 신장생장이 촉진되고, 측지 발달이 억제됨. Pinus contorta 임분에서 측지 발달이 억제되고, 아랫가지가 자연낙지되어 훌륭한 목재감으로 자람. 2. 간벌 간벌은 재적생장을 증가시키는 이점도 있지만, 수간의 하부와 상부의 직경 차이를 나타내는 초살도를 증가시키기도 함. 조림 당시 식재 간격을 좁게 하여 수관폭이 작고, 초살도가 작은 수간을 유도하여야 하며, 자연낙지를 유도하여 옹이가 없도록 하고 지하..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29. 17:11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4 식물호르몬

1. 개요 1) 식물호르몬 정의 식물호르몬은 유기물로서 한곳에서 생산되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이동된 곳에서 생리적 반응을 나타내며 아주 낮은 농도에서 작용하는 화합물을 말함. 2) 역할 식물은 내적 외적 유기적 연결 수단, 외부자극 감지 체계가 필요함. 내적 외적 자극을 감지하여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 기능. 3) 작용 식물호르몬 존재 >> 해당 호르몬에 반응을 보이는 세포 원형질막에 부착된 수용단백질과 세포질내 수용단백질이 호르몬과 결합 >> 호르몬과 결합한 수용단백질은 분자의 공간배열이 변하여 활성화되면서 호르몬의 signal을 증폭시킴 >> 증폭과정은 몇 단계를 거쳐 나타남, 활성화된 수용단백질이 인근 위치한 phospholipase 효소를 활성화 >> 이어서 p..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29. 16:44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2 유성생식과 개화생리

1. 유형과 성숙 1) 유형기 유형(juvenility)이란 수목이 영양생장만 하면서 개화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 어린 형태. 유형기는 수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방크스소나무나 리기다소나무는 보통 3년이면 개화기 시작됨. 목본식물 중 유형기가 가장 긴 수종은 유럽의 너도밤나무(Fagus sylvatica)로서 보통 30~40년 가량 됨. 유형기는 목본식물이 에너지를 영양생장에만 투입하는 생존전략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 영향으로 기간이 변화함. 2) 유형의 특징 a. 잎의 모양 서양담쟁이덩굴의 유엽은 결각으로 갈라지고 성엽은 둥글게 자람. 향나무 유엽은 바늘같이 뾰족한 침엽(needle-like leaf)이며 성엽은 비늘같은 인엽(scale-like leaf). 소나무는 종자 발아 첫해에 1차엽(pr..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26. 14:25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1 무기염의 흡수와 수액상승

1. 뿌리의 기능 수분이 부족하면 뿌리의 비중이 늘어나며, 북극툰드라, 초원지대, 사막의 관목은 건중량에 대한 뿌리의 비율이 90% 정도로 높음. 2. 무기염의 흡수기작 1) 자유공간의 개념 자유공간은 세포벽을 따라 무기염이 자유로이 들어오는 공간을 뜻하며, 내피 직전까지를 말함. 세포벽이동과 같은 개념이며, apoplast는 식물조직중 죽어있는 부분(세포벽, 목부조직의 도관과 가도관)을 말함. symplast는 세포의 살아있는 부분(원형질로 구성되어 원형질연락사로 이웃하고 있는 세포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말하며 세포질이동은 자유공간과 반대되는 개념임. 무기염은 내피까지 자유공간을 이용(세포벽이동)하여 도착 혹은 표피나 피층에서 원형질막을 통과(세포질이동)하여 도착할 수 있음. 2) 카스페리안대..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8. 23:44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0 수분생리와 증산작용

1. 물의 특성과 기능 1) 물의 특성 높은 비열, 높은 기화열, 높은 융해열, 극성, 자외선과 적외선의 흡수 2) 물의 기능 원형질의 구성성분 (살아있는 세포 생중량의 80~90%), 광합성과 여러 생화학적 가수분해의 반응물질, 기체나 무기염 등 여러물질의 용매 역할, 여러 물체를 운반시키는 운반체, 식물세포의 팽압 유지(세포의 확장, 기공의 개폐, 어린잎의 모양 유지, 줄기 지탱) 2. 수분포텐셜 1) 구성성분 수목에서 수분포텐셜은 삼투포텐셜, 압력포텐셜, 기질포텐셜로 이루어짐. 기질포텐셜은 친수성을 가진 교질상태의 단백질과 전분 입자 등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물분자에 의한 것. 기질포텐셜은 평소 세포에서는 0에 가까움. 세포의 수분포텐셜은 항상 0보다 낮은 값을 가지며, 수분은 수분포텐셜이 높은 ..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8. 18:10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9 산림토양과 무기영양

1. 산림토양과 경작토양의 비교 1) 토양단면 산림토양(낙엽층 有)과 경작토양(경운층 有)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성질이 다름. 2) 물리적성질 a. 토성 점토, 미사, 모래의 상대적인 혼합비율 의미. 산림토양에는 토성에서 고려되지 않는 지름 2.0mm 이상 자갈이 실제로 많이 포함되어 있음. 한국의 산림토양은 모래가 많고 경사가 있어, 통기성과 배수가 양호한 반면 보수력이 떨어짐. b. 토양공극과 용적비중 임상에 유기물이 많고, 수목뿌리가 토양을 느슨하게 만듬. 산림토양은 공극이 많고아 용적비중이 작음. 산림토양은 공극률이 보통 40~60%, 용적비중은 0.8~1.6 정도 됨. c. 토양수분 토양수분종류, 식물이 이용가능한 수분의 범위, 토성에 따른 차이는 10장에서 다룸. 3) 화학적 성질 a...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5. 10:26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8 지질대사

1. 지질의 종류와 기능 지질은 극성을 갖지 않은 물질로 주성분은 탄소와 수소이며, 극성을 유발하는 산소는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음. 1) 세포의 구성성분 원형질막은 인지질로 이루어지며 수용성 물질이 원형질막을 자유로이 통과하는 것을 억제함. 페놀 화합물인 리그닌은 목본식물의 경우 세포벽의 주요한 구성성분임. 2) 저장물질 지질은 종자나 과일의 중요한 저장물질. 3) 보호층 조성 wax, cutin, suberin은 잎, 줄기, 종자의 표면을 보호하는 피복층을 만듬. 4) 저항성 증진 수지(resin)은 병원균이나 곤충의 침입을 막으며, 인지질은 수목의 내한성을 증진시킴. 5) 2차산물의 역할 고무, tannin, alkaloids등은 대사의 2차 산물로서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생태학적 중요성이..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4. 11:31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7 단백질과 질소대사

목본식물의 목부는 거의 탄수화물인 cellulose로 되어 질소의 함량이 극히 낮음. 1. 주요 질소화합물과 기능 아미노산과 단백질그룹 / 핵산관련 그룹 / 대사 중개물질 그룹 / 대사의 2차산물 그룹 1) 아미노산과 단백질 그룹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알칼리성을 띤 아미노기(-NH2)와 산성을 띤 카르복실기(-COOH)가 같은 탄소에 부착된 유기물. 주요아미노산에는 20가지가 알려짐. 단백질은 여러개의 아미노산이 peptide연결을 하고 있는 화합물. a. 단백질은 원형질의 구성성분. 단백질은 세포막에 존재하여 세포막의 선택적 흡수기능에 기여함. 엽록체에서는 엽록소와 carotenoid가 단백질에 부착되어 효율적으로 광에너지를 모음. b. 모든 효소(enzyme)는 단백질로 구성됨. 녹색 잎..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3. 18:10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6 탄수화물 대사와 운반

1. 탄수화물의 기능 목본식물의 건중량의 75%이상이 탄수화물. 세포벽의 주요성분 / 에너지를 저장하는 주요 화합물 / 지방, 단백질과 같은 다른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기본물질 / 광합성에 의해 처음 만들어지는 물질 / 세포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물질 / 세포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용질 / 호흡과정에서 산화되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주요화합물 2. 탄수화물의 종류 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 비율이 1:2:1인 것이 특징. 경우에 따라 인과 질소를 함유하기도 함. 1) 단당류 탄수화물을 가수분해할 때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최소단위. 알데히드기(COH)나 케톤기(CO)를 하나 가지고 있음. 탄소 숫자는 3~8 다양하나, 가장 흔한 것은 5탄당과 6탄당. 그 중 포도당(6탄당)은 살아있는 유세포 내 함..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3. 09:05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5 호흡

호흡 1. 에너지의 역할 세포의 분열, 신장, 분화 / 무기영양소의 흡수 / 탄수화물의 이동, 저장 / 대사물질의 합성, 분해 및 분비 / 주기적 운동과 기공의 개폐 / 세포질 유동 2. 호흡과 에너지 생산 미토콘드리아(작은 소기관)에서 기질(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과정. 가장 효울적인 기본물질 포도당(glucose, 6탄당)은 산화되면 6개 CO2분자로 분해되고, 포도당에서 나온 전자와 수소는 산소를 환원시켜 6분자의 H2O를 만듬. C6H12O6 + 6O2 ▶ 6CO2 + 6H2O + 686kcal ▶ ATP 생산 산화대상물질 환원대상물질 산화된물질 환원된물질 에너지방출 포도당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ATP형태로 저장됨. 3. 호흡작용의 기작 기질이되는..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11. 09:05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4 광합성

광합성 광합성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소의 숫자를 1개 늘리는 과정. 포도당과 설탕을 만들어내는 호흡의 역작용. 1. 광합성 색소 1) 엽록소 엽록소(chlorophyll)은 엽록체라고 하는 작은 크기 소기관에 들어있는 색소로서, 지구상 가장 흔한 색소. 엽록소를 함유하고 있는 grana부분(광반응 담당)과 엽록소가 없는 stroma(암반응 담당)로 구분됨. 목본식물의 경우 엽록소a(청록색)와 엽록색b(황록색)이 주종을 이룸. 엽록소는 pyrrole이 4개 모여 고리를 만듬. 고리 한복판에 마그네슘 분자가 있고, 네번째 pyrrole 분자에 긴 꼬리 모양의 phytol이 부착됨. 전체로 볼 때 비극성 화합물(유기물의 경우 산소원자가 극히 적고,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물에 잘 ..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7. 21:16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3 햇빛

햇빛은 종자의 발아, 잎의 모양과 배열, 줄기의 생장과 굴기, 줄기와 뿌리의 비율, 수목의 형태 결정, 눈의 휴면, 휴면타파, 개화, 낙엽시기, 증산작용 등 생리적인 현상에 영향을 미침. 1. 태양광선의 생리적 효과 태양광선은 파장이 다른 여러가지 전자기파로 구성 녹색식물은 인간의 눈과 마찬가지로 400nm~700nm 파장대의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함. 특히 660~730nm 적색광선은 식물 형태와 생리에 독특한 역할을 함. 고에너지 광효과 : 광도 1,000lx 이상에서 광합성 가능 저에너지 광효과 : 광도 100lx 이하에서 생리적 효과 나타남. 광주기나 굴광성은 저에너지 광효과. 1) 태양의 광질 햇빛이 임관(canopy)를 지나 임상(forest floor)에 도달할 때, 파장의 구성성분 ..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7. 15:28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2 수목의 생장

1. 수고생장나무 최대높이 예언(110m,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근거 : 중력에 반대로 물이 끊어지지 않고 올라갈 수 있는 한계.1) 눈 (bud)눈은 정단분열조직을 가지고 세포분열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음.액아(axillary bud) : 대와 잎 사이 겨드랑이에 위치한 비교적 작은 눈잠아(dormant bud) : 자라지 않고 계속 휴면상태로 남아 있는 눈. 대와 잎 사이 엽액(leaf axil)에 만들어졌다가 줄기가 굵어지면 수피 바로 밑까지 따라오면서 흔적으로 아흔(bud trace)을 남김. 주맹아(stump sprout), 피자식물의 도장지(epicormic shoot), 나자식물의 맹아지는 모두 잠아에서 유래함.부정아(adventitious bud) : 줄기 끝이나 엽액(leaf axil)..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5. 21:23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 수목의 구조

1.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1) 환경에 변화에 따라 잎의 구조와 형태가 다양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고온 다습 열대지방 식물 : 세포간격이 넓고 왁스층이 얇은 잎건조지방 : 증산작용 억제를 위해 세포간격이 좁고 왁스층이 두꺼운 경엽추운지방의 가문비나무 : 짤막하고 표피층이 두꺼운 바늘 형태의 잎2. 수목의 기본구조 : 기관과 조직1) 6개의 기관영양구조(잎, 줄기, 뿌리) 생식구조(꽃, 열매, 종자)2) 각 기관은 여러개의 조직으로 구성   3. 잎1) 피자식물의 잎엽신, 엽병, 상표피, 하표피, 각피, 엽육(엽록체 많이 함유,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으로 나뉨)온대지방 적습지 양면엽(잎의 압뒤 구별이 뚜렷함), 건조지에서는 등면엽(책상조직이 양쪽에 있어 앞뒤 구분이 어려움)2) 나자식물의 잎엽육조직 분화(책상조직..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2022. 4. 4. 08:05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이웃추가
새글보기|위젯설치

페이징

이전
1
다음
LNM Instagram
리사앤마르코 식물, 정원 이야기 @ LNM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