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dens, Botanical gardens and Arboretum
-
Plants-related Issues
멸종위기에 처한 바나나 이야기
우리가 흔히 먹는 바나나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현재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바나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캐번디시 바나나' 품종이 치명적인 곰팡이 병원균, 열대황반병 종류에 의해 멸종 위기에 놓였습니다. 1950년대 그로 미셸(Gros Michel) 바나나가 사라졌던 것처럼, 이제 캐번디시 바나나도 같은 운명을 맞이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면 바나나는 왜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앞으로 우리는 바나나를 계속 먹을 수 있을까요?1. 바나나 멸종 위기의 원인: 곰팡이 병원균, 열대황반병 종류바나나가 멸종 위기에 처한 가장 큰 원인은 곰팡이 병원균, 열대황반병 종류 때문입니다. 이 병원균은 바나나의 뿌리를 감염시키고, 물과 영양분의 흡수를 방해하여 결국 바나나 나무를 말려 죽게 만듭니다..
-
Plants-related Issues
딸기의 비밀, 딸기는 사실 열매가 아니다.
많은 사람이 사랑하는 과일, 딸기. 하지만 우리가 먹는 붉은 부분이 사실 ‘진짜 열매’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딸기는 식물학적으로 ‘거짓열매(위과, 假果, false fruit)’ 또는 ‘집합과’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딸기의 진짜 열매는 무엇일까요? 딸기의 구조: 우리가 먹는 부분은 ‘꽃받침’딸기는 장미과(Rosaceae) 식물로, ‘딸기속(Fragaria)’에 속합니다. 보통 열매는 꽃의 씨방(ovary)이 자라면서 형성되지만, 딸기는 조금 다릅니다.- 우리가 먹는 붉은 부분은 씨방이 아니라 꽃받침이 발달한 것입니다.- 딸기 꽃이 수정된 후 씨방이 아닌 꽃턱(receptacle)이 비대해지면서 달콤한 맛을 내고 빨갛게 익습니다.- 즉, 딸기의 주요 먹는 부분은 식물학적 의미의 ‘과실(fru..
Lisa's Writing
Marco's Drone playing
Gardener's Diary
-
[C-04] 2021코리아가든쇼 - 자연의 틈, 간원
2021코리아가든쇼 공모주제 : 정원, 그 안에 자연을 담다 공모기간 : 2021.6.29 ~ 7.9 규모 : 70m² 조성비 : 4,500만원 국립수목원장상 자연의 틈, 간원 자연의 틈, 간원 (間園, 看園) 지구의 공간(間)을 끊임없이 개발하는 인간(間)은 자연의 시간(間)을 압축적으로 소비하며, 오늘날 자연의 틈(間)을 마주하게 한다. 틈(間)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 태풍 등 기후재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포함한 대규모 전염병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이것만을 가르키지 않는다. 인간 중심주의, 미세먼지, 환경문제는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건과 이어지고, 단 하나뿐인 지구에서 우리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가 머무는 공간의 사이(間), 자연이 회복하고 자라나는 시간의 사이(間),..
2022.02.23 17:47 -
[P-02] 풀씨 5기 - 서울식물이야기, 식물살롱
프로젝트명 : 서울식물이야기 (재단법인 '숲과나눔'의 지원 사업 '풀씨 5기' 선정) 프로젝트 기간 : 2020. 09 ~ 11 (3개월) 프로젝트 내용 : 매주 금요일 아침 8시 레터 발송 (총 13회) 레터 내용 _ 식물 시, 인터뷰, 식물이야기, 반려식물이야기 그 외 프로젝트 활동 : 식물살롱 1회 개최, "식물정원이야기 가을레터 모음집" 발간 (80권) 재정비 후 2021년 1월 다시 연재를 시작하려고 하였으나, 레터의 질에 대한 고민이 짙어졌고, 리사와 마르코 모두 직장인이 되어 레터 재시작이 잠정적으로 연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연재를 재시작하게 되면 먼저 기존 구독자분들께 재정비 내용을 공지할 예정이다. 식물살롱 제 1회 개최 식물살롱 현장스케치 [LNM] 서울식물이야기, 도시와 식물의 ..
2021.07.11 04:47 -
[C-03] 제 2회 LH가든쇼 - 고덕보호구역
제 2회 LH 가든쇼 공모 주제 : 정원, 경계를 품다 공모 기간 : 2019.11.12 - 12.11 규모 : 150m² 내외 조성비 : 4,500만 원 2020년 5월 예정이던 가든쇼가 코로나로 인해 지연되었다. 봄 공사가 여름 공사로 바뀌면서 미리 사둔 식물을 사용하기가 어려워졌다. 폭우, 예고 없이 연장된 공기 등 가든쇼 관련 다양한 사건들이 연달아 일어나기도 했고, 이 무렵 이직을 하고 여러 번의 거소지 이전을 하는 등 개인적으로는 막막했던 이런저런 어려움도 있어서인지 기억을 되짚어 보는 것이 쉽지 않았다. 아쉬운 마음을 삭히고 즐거웠고 감사했던 순간을 다시 되돌아보기까지 1년이 걸렸다. https://www.instagram.com/p/CDK8BiHgOCo/ 처음 작가정원을 공모하고 당선하게 ..
2021.07.11 03:39
The Plant
-
Exploring Plants
가침박달의 꽃말과 관리방법 이야기
1. 형태 및 특징가침박달은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 1~5m까지 자랍니다.잎: 어긋나게 배열되며,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상반부에 톱니가 있습니다.꽃: 4~5월에 가지 끝에 3~6개씩 흰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며, 지름은 약 4cm입니다.열매: 9월에 익는 삭과로, 씨방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칸이 바느질할 때 감치기로 꿰맨 것처럼 보입니다.2. 꽃말가침박달의 꽃말은 "청아한 아름다움", "순수한 마음"입니다. 맑고 깨끗한 흰색 꽃이 피어나기 때문에 순수함과 우아한 아름다움을 상징합니다.3. 이름의 유래‘가침박달’이라는 이름은 ‘감치다’에서 유래한 ‘가침’과 박달나무처럼 단단한 줄기를 의미하는 ‘박달’이 결합된 것입니다. 이는 열매의 모양과 나무의 단단한 성질을 반영한..
-
Exploring Plants
봄에 피는 은방울수선화 꽃말과 관리방법
은방울수선화(Leucojum aestivum)는 수선화과(Amaryll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식물로, 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지입니다. 한국에서는 '레오코줌', '여름눈꽃' 또는 '스노우플레이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작은 종 모양의 흰색 꽃이 종처럼 늘어져 피어 우아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재배가 비교적 쉬워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1. 은방울수선화의 꽃말과 의미은방울수선화의 꽃말은 ‘순수’, ‘아름다움’, ‘처녀의 사랑’입니다.흰색 꽃이 청아한 느낌을 주며, 고결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연상시킵니다. 유럽에서는 은방울수선화가 순수한 사랑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져, 종종 신부의 부케나 장식용 꽃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2. 은방울수선화의 특징과 생육 환경① 형태 및 생김새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