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후쿠오카 스미요시 신사의 식물들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

by 리사앤마르코 _ LNM 2020. 2. 3. 16:30

본문

예전에 방문한 후쿠오카 스미요시 신사에서 만난 식물들을 소개한다.

스미요시 거리에서 진입한 스미요시 신사 모습
주차장 안쪽으로 이어지는 길

하카다역 주변 어디를 갈까 고민하던 중 걸어서 7분 거리에 있는 스미요시 신사를 가보기로 하였다.

스미요시 신사가 위치한 후쿠오카는 위도 33.5 언저리로 우리나라로는 제주도와 유사한 기후대라고 볼 수 있다. 벌써 매화나무, 수선화 등 봄을 알리는 식물들이 개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스미요시 신사에서 만난 식물들을 소개한다.

Myrica rubra 소귀나무

소귀나무는 10m까지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과피나 열매가 약재로도 사용된다. 제주도 고도 300m미만에도 자생한다. 천리포수목원 솔바람길 오른쪽으로도 소귀나무가 있는데 바다바람이나 건조에도 강한 식물이다. 잎을 비비면 독특한 향이 나고 수피는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으며 청갈색 반점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IUCN 적색목록에는 없지만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많지 않으며 자생지 확인과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하다.

Magnolia figo 피고초령목

Banana shrub, port wine magnolia라고도 불리는 피고초령목도 만났다. 2006년 분류학적 발견으로 Michelia속이 아닌 Magnolia속에 속하게 되었다. 중국이 원산이며 상하이에서는 밀도 높은 수형을 이용하여 생울타리로도 사용한다. 크림색의 향기로운 꽃이 피며 보라색 혹은 연보라빛을 띄기도 한다. 적색목록에서는 LC(least concern)에 속한다.

Daphniphyllum macropodum 굴거리나무

양치식물원 대상지에 종자발아가 많았던 굴거리나무이가. 형태적으로 길고 붉은 엽병도 특별하지만줄기가 갈라져 나오는 모양도 특징적이다. 높이 7-10m 까지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였으나 지금은 굴거리나무과( Daphniphyllaceae)에 속하며 유일한 속이다. 굴거리나무속에는 25-30여 종이 밝혀졌는데 국내에는 굴거리나무, 좀굴거리나무(잎의 크기, 꽃의 특징, 겨울눈의 차이 등으로 구분)가 있다. 초기성장은 느리지만 해풍에 강해 방풍림으로도 쓰인다.

Podocarpus macrophyllus 나한송

나한송과(Podocarpaceae)에 속하는 코니퍼(conifer)로 같은 속중에서 가장 북쪽에 분포하는 종이다. 일본 남부와 중국 동남부가 자생지로 20m 까지도 자란다. 상록교목으로 중국에서는 부르는 羅漢松 (luóhàn sōng)이 국내로 들어오며 나한송이라 부르게 되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중국어의 뜻은 arhat pine (arhat은 불교의 성인 아라한을 의미) 이라는 뜻이다. 잎의 폭은 1cm 정도이고 가운데 잎맥이 있다. 줄기에 달리는 구과(cone)은 익으면 보라색으로 변하는데 새들이 먹고 퍼뜨린다. IUCN redlist에서는 LC(least concern)에 속한다.

Aphananthe aspera 푸조나무

 수피가 갈라져 벗겨지는 모양이 특이한 느릅나무과(Cannabaceae)의 낙엽활엽교목이다.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에 자생하며, Scabrous aphananthe 혹은 muku tree라고도 불리운다.

Cinnamomum camphora 녹나무

후쿠오카 곳곳에서 만날 수 있었던 녹나무이다. 녹나무는 20-30m까지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중국 양쯔강남부, 대만, 일본 남부, 한국 남부, 베트남 남부 등에 자생한다. 흔히 camphor tree라고 불리우는데, 녹나무를 포함한 녹나무과 몇몇 식물의 나뭇잎에서 얻는 캄퍼라는 물질은 마취제 살균제 등으로 쓰이는 화합물을 일컫는다. 잎은 왁스층이 있어 반짝이며 으깨지면 camphor의 향이 난다. 봄에 올라오는 밝은 연두색의 신엽과 하얀색 꽃무리가 아름답고, 수피는 거칠고 수직적으로 깊게 갈라진다.

Narcissus sp. 수선화종류

 

Prunus sp. 매화 종류

 

Camellia japonuca 동백나무, 떨어진 꽃

 

그 밖에도 동백, 수선화, 매화등 꽃을 볼 수 있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