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무의사 서술형 대비 요약 _ 8 수목 해충학 (2)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by 리사앤마르코 _ LNM 2022. 7. 26. 02:14

본문

반응형

11. 소나무좀과 오리나무좀

1) 소나무좀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소나무속의 침엽수 (소나무, 곰솔, 잣나무 등)

- 피해 : 성충과 유충이 수피 바로 밑에서 형성층과 목질부를 갉아먹어 신초가 구부러지거나 건전한 나무가 고사하기도 한다.

소나무좀, 소나무좀피해 [출처 : 위키피디아, 산림청]

② 생활사

- 연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지제부 부근에서 월동한다. (탈출공 1.5~2mm)

충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성충 o o o o                
      o                
유충       o o o            
번데기         o o            
성충           o o o o o o o

③ 방제법

- 임업적 방제 : 쇠약한 나무, 고사목은 미리 제거한다.

- 물리적 방제 : 2월 하순 유인목 설치 5월 하순 박피 소각하여 유충 구제한다.

- 수세가 약한 나무를 주로 가해하므로 수세를 강화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2) 오리나무좀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활엽수와 침엽수 150여종이 넘는 잡식성 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밤나무에 자주 대발생한다.

- 피해 : 성충이 목질부에 침입하여 갱도에서 암브로시아균을 배양하고, 외부로 백색 목설을 배출하기 때문에 쉽게 발견된다.

오리나무좀의 피해, 오리나무좀 [출처 : 산림청, 농촌진흥청]

② 생활사

- 1년 2~3회 발생, 성충으로 월동한다.

- 월동한 성충은 4~5월 출현, 줄기에 구멍을 뚫고 20~50개의 알을 무더기로 낳는다.

- 알은 약 4일 후 부화하여 유충이 되며, 부화한 유충은 암브로시아균을 먹고 자란다.

③ 방제법

- 임업적방제 : 피해목, 고사목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 화학적 방제 : 디노테퓨란 수화제 등의 적용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줄기에 살포한다.

 

 

 

12. 회양목명나방과 회양목혹응애

 

회양목명나방 유충, 회양목명나방 성충  [출처 : 네이처링, BRIC]

1) 회양목명나방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회양목

 - 피해 : 유충이 실을 토하여 잎을 묶고 그 안에서 식해하여 잎이 반투명해지고, 피해가 지속되면 나무 전체가 고사한다.

② 생활사

- 1년에 2-3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 유충은 6령기를 거치고, 6월 상순 번데기가 되며 피해가 심해진다.

③ 방제법

- 생물적 방제 : 곤충병원성 미생물인 Bt균(Bacillus thuringiensis)이나 핵다각체바이러스를 살포, 페로몬 트랩으로 성충 유인하여 유살.

- 화학적 방제 : 유충발생초기에 메티다티온 수퐈제, 클로르페나피르 유제등의 적용 약제를 살포.

회양목혹응애 녹색벌레혹, 벌레혹 속 성충 [출처: 아파트관리신문]

2) 회양목혹응애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회양목

- 성충과 약충이 잎, 눈속에서 가해하여 마디에 꽃봉오리 모양의 벌레혹을 형성한다.

- 3월 중순 벌레혹은 갈색으로 변하고 새로운 녹색 혹은 4월 하순부터 변색하여 5월 흑갈색으로 변한다.

② 생활사

- 연 2~3회 발생, 주로 성충으로 월동하나 알, 약충으로도 월동한다.

- 월동한 성충은 3월 새로운 눈속에 침입하여 벌레혹을 만들고 그 속에서 2~3세대를 경과한다.

- 신성충은 9월 나타나서 회양목 눈 속으로 들어간다.

③ 방제법

- 벌레혹이 형성된 가지를 제거한다.

- 9월 상순에 디메토유제 500배액을 10일간격 2~3회 살포한다.

 



13. 외줄면충, 사사키잎진딧물, 때죽납작진딧물

외줄면충, 사사키잎진딧물, 때죽납작진딧물 [출처:의약뉴스, 아파트관리뉴스, 네이처링]

1) 외줄면충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느티나무, 대나무류(여름기주)

- 피해 : 간모가 잎 뒷면에서 흡즙하면 잎 표면에 벌레혹이 만들어 지고, 유시충이 탈출하면 벌레혹은 갈색으로 변색된다.

② 생활사

- 연 수회 발생, 수피틈에서 알로 월동한다.

- 3회 탈피 간모 (5월) > 벌레혹에서 1세대 간모 2세대 약충을 낳음 > 2세대 4회 탈피, 벌레혹당 15~24마리 유시성충 > 유시성충 대나무로 이동(5월하순~6월상순) > 무시형 성충이 낳은 약충 대나무 뿌리에서 여름을 보냄 > 유시형 성충 느티나무 이동 (10월 중순~하순) > 교미 후 알을 가진채 암컷이 수피 틈에서 죽음 > 이듬해 봄 알이 노출

③ 방제법

- 물리적 방제 : 유시충이 탈출하는 5월 전 잎을 채취하여 제거한다.

- 여름기주인 대나무류를 제거한다.

2) 사사키잎진딧물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벚나무, 쑥(여름기주)

- 피해 : 잎 앞면에 잎맥을 따라 주머니 모양의 벌레혹을 1~수개 만듬. 황백색 > 황록색 > 홍색으로 변하고 미관을 해친다.

② 생활사

- 연 수회 발생, 가지에서 알로 월동

- 4월상순 유충 눈 뒷면에 기생 > 벌레혹 만듬 > 약충을 낳고 무시형 산자성 암컷의 증식 > 유시형 암컷 여름기주(쑥) 이동 (5월 하순~6월 상순) > 유시헝 암컷과 수컷 벚나무 출현, 알을 낳음(10월 하순)

③ 방제법

- 4월 상순 약제 살포 또는 수간주사

- 6~10월에 여름기주인 쑥 제거

3) 때죽납작진딧물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때죽나무, 나도바랭이새(여름기주)

- 피해 : 간모가 흡즙하여 바나나 송이 모양 황록색 벌레혹을 만들고, 진딧물이 탈출한 벌레혹은 암갈색으로 변하여 미관을 해친다.

② 생활사

- 연 수회 발생, 가지에서 알로 월동한다.

- 벌레혹 평균 11개, 진딧물 수는 15개 > 유시충 여름기주(나도바랭이새) 이동 (7월) > 가을 다시 유시충이 때죽나무로 돌아옴

③ 방제법

- 물리적 방제 : 성충 탈출 전 벌레혹 채취하여 소각

- 4월 상순 약제 살포 또는 수간주사

- 무당벌레류, 거미류, 풀잠자리류 보호

- 8~10월 여름기주(나도바랭이새)에 적용 약제 살포

 

 

 

14. 박쥐나방

박쥐나방 유충, 성충 [출처 : 아파트관리신문, 네이처링]

1) 기주와 피해

- 기주 : 활엽수(상수리나무, 감나무, 배나무 등)와 침엽수(삼나무, 편백, 은행나무) 가해

- 피해 : 목질부 속을 파고 들어가 갱도를 맘ㄴ들며 가해하므로 피해가 크다. 가해부위는 배출된 목설을 실로 묶어 놓아 혹같이 보이며 쉽게 발견할 수 있다.

2) 생활사

-  1~2년에 1회 발생. 1년 1회 발생시 알로 월동. 2년 1회 발생시 유충으로 월동.

- 성충이 어두운 저녁에 활발하게 활동하므로 박쥐나방이라고 한다.

- 월동한 알 5월 부화 > 번데기 기간 2~4주 > 성충은 8월~10월 우화

3) 방제법

- 6월 이전 임내 잡초 제거 및 지면에 전용 약제 살포.

- 수간에 끈끈이 롤트랩을 감아 유충 침입을 막는다.

- 유충 침입공을 조기 발견하여 철사를 넣어 유충을 찔러 죽인다.

 

 

 

15. 알락하늘소

알락하늘소, 알락하늘소 피해 [출처: BRIC, 에코타임스]

1) 기주와 피해

- 기주 : 활엽수와 침엽수(삼나무) 등 가해하는데 특히 단풍나무류에서 피해가 심하다.

- 피해 : 유충이 줄기 아래쪽에서 목질부 속으로 갉아 먹으며 밖으로 목설을 배출한다.

노숙유충시기에는 지제부로 이동하여 형성층을 갉아먹어 수세가 약해지거나 고사하고 바람에 줄기가 부러지기도 한다.

2) 생활사

- 연 1회 발생, 노숙유충으로 줄기에서 월동한다.

- 월동 유충 5월 상순 번데기 > 20~30일간 번데기 > 6월 중순~7월중순 우화, 탈출 > 알

3) 방제법

- 임업적 방제 : 피해목이나 가지를 제거하여 반출, 소각한다.

- 물리적 방제 : 철사를 침입공으로 넣어 내부 유충을 찔러 죽인다.

- 생물적 방제 : 알락하늘소살이고치벌 등의 고치벌류, 좀벌류, 맵시벌류, 기생파리류 등의 천적을 보호한다.

- 화학적 방제 : 성충 우화기에 아세타미프리드, 뷰프로페진 유제 등의 적용 약제를 살포한다.

 

 

 

16. 진달래 방패벌레

진달래방패벌레 [출처 : 네이처링, 아파트관리신문]

1) 기주와 피해

- 기주 : 밤나무 사과나무 진달래 산철쭉 철쭉 영산홍 등

- 피해 : 잎 뒷면에서 흡즙하여 잎이 황백색으로 변한다. 가해 부위에 검은색 배설물과 탈피각이 붙어 있어 띠띤애매미충류 피해와 구분된다.

2) 생활사

- 연 4~5회 발생, 성충으로 월동

- 잎 뒷면에 산란 > 알 5~7일 > 4월 약충 흡즙 > 4~10월 성충, 약충 동시 가해

3) 방제법

- 물리적 방제 : 피해 초기 피해 잎을 제거해 소각한다.

- 생물적 방제 : 거미류 등의 포식성 천적을 보호한다.

- 화학적 방제 : 발생 초기에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 등의 적용 약제를 수회 살포한다.

 

 

 

17. 느티나무벼룩바구미

느티나무 벼룩바구미, 피해모습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아파트관리신문]

1) 기주와 피해

- 기주 : 느티나무, 비술나무

- 피해 : 유충은 잎 가장자리부터 터널을 형성하며 갉아먹는다. 성충은 주둥이로 잎 표면에 구멍을 뚫어 가해한다.

2) 생활사

- 연 1회 발생, 성충으로 월동한다.

- 월동 성충 산란 > 4월 하순 부화 유충 > 유충 2회 탈피 > 번데기 > 신성충 5월 잎을 가해 > 월동

충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성충 o o o o                
      o o              
유충       o o              
번데기         o              
성충         o o o o o o o o

3) 방제법

- 생물적 방제 : 기생벌류, 포식성 노린재류, 곤충병원성 미생물인 백강균

- 화학적 방제 : 월동성충이 활동 시작하는 초기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 등의 적용 약제 나무주사, 신성충 발생시기에 적용약제 살포

- 물리적 방제 :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을 잡아 죽인다.

 

 

 

18. 대벌레, 솔나방, 응애

대벌레, 솔나방, 가슴구멍응애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 대벌레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활엽수

- 피해 : 성충과 약충이 대이동하면서 잎 전체를 갉아 먹는다. 암컷은 느리고 수컷은 민첩하다. 단위생식을 하므로 서식조건이 맞으면 돌발적으로 대발생 할 수 있다.

② 생활사

- 연 1회 발생, 알로 월동.

- 약충 (3월 하순) > 수컷 5회 탈피, 암컷 6회 탈피 > 우화 (6월 중하순) > 산란 (1마리당 600~700개) > 성충 11월까지 나타남 

③ 방제법

- 물리적 방제 : 성충과 약충을 잡아 죽인다.

- 생물적 방제 : 풀잠자리류, 무당벌레류, 사마귀류, 딱정벌레류, 침노린재류 등의 천적을 보호한다.

- 화학적 방제 : 성충이 되는 6월 이전 약제를 살포해야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솔나방

① 기주와 피해

- 기주 : 소나무, 곰솔,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개잎갈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방크스소나무, 솔송나무

② 생활사

- 연 1~2회 발생, 유충 월동

- 암컷은 솔잎에 약 500개의 알을 무더기로 나누어 낳는다.

- 유충은 번데기까지 7회 탈피하는데 5령 유충으로 11월경 월동한다.

-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부화유충기이며, 8월경 비가 많이 내리면 다음해 발생량이 줄어든다.

충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유충 o o o o o o o          
번데기             o o        
성충             o o        
            o o        
유충               o o o o o

③ 방제법

- 물리적 방제 : 잠복장소 유살법.

- 생물적 방제 : Bt균 살포, 기생성 천적인 좀벌류, 맵시벌류, 알좀벌류, 기생파리류, 무당벌레류, 거미류, 풀잠자리류, 조류 등을 보호한다.

- 화학적 방제 : 월동유충기에 아바멕틴 유제, 아바멕틴·설폭사플로르 분산성 액제 등의 적용 약제를 나무주사한다.

3) 응애

① 특성

- 거미강 응애과, 4쌍다리, 홑눈

② 생활사

- 수정한 암컷 + 알

- 고온건조, 먼지 많을 때 다 발생

- 침엽수, 활엽수 모두 가해, 흡즙하여 생육 저해

- 4계절 피해

③ 방제법

- 생태적 방제 : 긴털이리응애, 칠레이리응애, 꽃노린재 등 천적 보호

- 화학적 방제 : 에마멕틴벤조이트, 아바멕틴, 아미트라즈, 기계유제 살비제

 

 

19. 생물적 방제, 해충종합관리(IPM)

1) 생물적방제

① 개요

- 증가된 해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곤충병원성 미생물, 포식성 천적, 기생성 천적과 같은 생물적 요인을 이용함으로써 자연계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방법

② 종류

- 천적 : 기생성 천적(기생벌류, 기생파리류), 포식성 천적 (무당벌레, 사마귀, 풀잠자리, 말벌류, 응애류, 노린재류, 조류, 두더지 등)

- 곤충병원성 미생물 : 곤충병원성 바이러스(핵다각체병바이러스, 과립병바이러스), 세균 (Bt제), 곰팡이(백강균, 녹강균), 선충

2) 해충종합관리(IPM)

① IPM

- Intergrated Pest Management

- 다양한 방제수단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해충의 밀도를 경제적피해수준 이하로 억제하는 방법이다.

②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파악

- 경제적 피해 수준 EIL : 해충에 의한 피해액 = 방제비

- 경제적 피해 허용 수준 ET : EIL 도달을 억제하기 위해 직접 방제수단을 써야 하는 수준,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 한다.

- 일반평형밀도 GEP : 외부 간섭 없이 천적으 영향으로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해충의 평균 밀도

 

 

[참고문헌]
수목해충학, 향문사, 홍기정 김철응 권건형 이광재 문희종 문성철 우건석
나무의사 2차서술고사, 예문사, 배창호 조오영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