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무의사 서술형 대비 요약 _ 3 침엽수류 병해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by 리사앤마르코 _ LNM 2022. 6. 21. 15:14

본문

반응형

1. 리지나뿌리썩음병

1) 병원균

 Rhizina undulata Fr.

② 주발버섯목에 속하는 파상땅해파리(Rhizina undulata, 자낭균)에 의해 발병

2) 기주

① 소나무류, 전나무류, 가문비나무류, 낙엽송류, 솔송나무 등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침엽수에서 주로 발병한다.

3) 병징 및 병환

① 지표면 근처 잔뿌리가 흑갈색으로 부패하고 점차 굵은 뿌리로 확산된다.

② 나무 밑동 근처에서 자실체가 발생하고 잎이 누렇게 변하면서 가지가 죽고 나무 전체가 말라죽는다.

4) 진단특성

① 40℃ 이상에서 24시간 이상 지속되면 포자가 발아해 뿌리를 발아시키므로 산불 난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병이다.

② 산림보다는 해안가 모래의 소나무 숲에서 발생이 많다.

③ 버섯은 대가 없이 넓적하게 땅에 붙어서 손바닥 크기로 자라며 적갈색이다.

5) 방제법

① 산에서 불을 피우지 않는다.

② 산성토양은 석회로 중화시킨다.

Rhizina undulata [출처 : Wikimedia commons, Wikipedia]

 

 

2.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선고병, shoot blight)

1) 병원균

Guignardia laricina (Sawada) W. Yamam. & Kaz. Ito

2) 기주

① 일본잎갈나무, 이깔나무

3) 병징 및 병환

① 6~7월 감염 시 수관의 위쪽만 남기고 낙엽되어 가지 끝이 아래로 쳐진다.

② 8~9월 감염시 가지는 꼿꼿이 선 채로 말라 죽는다.

4) 진단특성

① 주로 10년생 내외 일본잎갈나무에서 피해가 심하다.

② 고온 다습하고 강한 바람이 마주치는 임지에서 특히 심하게 발생한다.

5) 방제법

① 묘포장 부근에 낙엽송 울타리나 활엽수를 심어 방풍림을 조성한다.

② 조림지에서는 적절한 약제를 7월 상순부터 2주 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Guignardia laricina [출처 : 산림청 산림병해충연구과 홈페이지]

 

 

3. 편백 · 화백 가지마름병 (수지동고병, resinous canker)

1) 병원균

Seiridium unicorne (Cooke & Ellis) B.Sutton

② 불완전균류이며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분생포자층을 형성한다.

2) 기주

① 편백, 화백, 노간주나무 등 측백나무과 수목에 발생한다.

3) 병징 및 병환

① 봄~가을 동안 비가 오거나 습할 때 분생포자가 방출되어 전반 된다.

② 수피가 점차 세로로 찢어지면서 수지가 흘러내리고, 수지가 굳어져 흰색으로 변한다.

4) 진단특성

① 1987년 국내 처음 보고 되었으나, 오래전 국내 편백이 도입되었을 때 병원균도 함께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② 경계부위에 유합조직이 형성되는데, 감염 부위가 가지를 한 바퀴 돌게 되면 피해가지는 적갈색으로 말라죽는다.

5) 방제법

① 감염 가지를 포함한 건전한 부위까지 잘라내어 태운다.

② 묘포에서는 생육기에 보르도액이나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수화제 1,000배액 또는 프로피네브 수화제 500배액을 2주간격 2~3회 살포하여 예방한다.

Seiridium unicorne [출처 : Wikipedia, 산림청 산림정책 홈페이지]

 

 

4. 잣나무 수지동고병 (수지동고병, resinous canker)

1) 병원균

Valsa abietis Fr. (무성세대 : Cytospora abietis Sacc.)

② 자낭균으로 감염부위 아래 형성되는 분생포자각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기주

① 잣나무

3) 병징 및 병환

① 습한 조건에서 달걀색 내지 갈색의 끈적끈적한 분생포자 덩이가 누출되며, 자낭각은 수피 조직에 파묻혀 형성된다.

② 1~2m 높이 줄기에서 가지치기 한 부위를 중심으로 감염되고 점차 아래로 진전된다.

4) 진단특성

① 1988년 경기도 가평군 잣나무 조림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② 이 병으로 죽은 나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병징을 나타내는 나무는 목재로써의 가치가 떨어진다.

5) 방제법

① 효과적인 방제법이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수세의 증강, 병든 나무 제거, 상처 발생에 유의 등 일반적인 관리를 철저히 한다.

Valsa abietis [출처 : pilzbestimmer.de, wikiwand]

 

5. 잣나무 털녹병

1) 병원균

Cronartium ribicola J.C. Fisch. 

2) 기주

① 잣나무, 스트로브스잣나무

② 섬잣나무와 눈잣나무는 저항성이다.

3) 병징 및 병환

① 수피가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부풀고 수피가 거칠어지며 수지가 흘러 지저분하게 보인다.

② 병든 나무의 수관이 죽은 가지로 인해 엉성하게 보인다.

③ 주로 5~20년생의 잣나무에 많이 발생하며, 병이 지속되면 결국 나무 전체가 말라죽는다.

④ 8월(잣나무 수피에서 흐르는 점액, 녹병정자) ▶ 4~6월 (잣나무 수피, 녹포자기 돌출) ▶ 4월 하순(송이풀 침입, 녹포자) ▶ 2주 후 (송이풀 잎 뒷면, 여름포자 형성 및 반복전염) ▶ 8월 (송이풀, 겨울포자) ▶ 8월~낙엽전 (잣나무 침입, 담자포자) ▶ 월동

4) 진단특성

① 중간기주인 송이풀류와 까치밥나무도 피해를 받는다.

② 1900년대 전후 북아메리카에 전파되어 스트로브잣나무림에 큰 피해를 준 병해이다.

③ 1980년 강원도 잣나무림에 피해를 준 우리나라 대표적 산림병해였으며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5) 방제법

① 병든나무와 중간기주를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감염경로를 차단한다.

② 녹포자기가 발생한 나무는 녹포자가 비산 하기 전에 비닐로 감싸고 8월 이후 병든 나무를 제거한다.

③ 잣나무 묘포에 8월 하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보르도액을 2~3회 살포한다.

④ 내병성 육종으로 저항성 수종을 개발하여 식재한다.

Cronartium ribicola [출처 : Wikipedia, iNaturallist Guatemala]

 

 

6. 향나무 녹병

1) 병원균

Gymnosporagium spp.

2) 기주

① 향나무, 노간주나무

② 중간기주는 배나무, 사과나무 등 과수와 조경수종인 명자꽃, 산당화, 산사나무, 야광나무, 모과나무 등 장미과 식물

3) 병징 및 병환

① 겨울포자세대 기주인 향나무류와 노간주나무에서 돌기, 혹, 빗자루 증상, 가지 및 줄기 고사 등이 나타난다.

② 녹병정자와 녹포자세대 기주인 장미과 식물에서는 병징이 거의 비슷하다.

③ 향나무와 배나무를 기주교대하는 G.asiaticum의 생활사 : 4~5월 (잎과 줄기 갈색으로 부풀어 오름, 겨울포자퇴) ▶ 4~5월, 배나무개화기 (장미과 식물의 잎 침입, 담자포자) ▶ 6~7월 (배나무 잎과 열매 노란색 작은 반점 안 검은색, 녹병정자기) ▶ 잎 뒷면 긴 털모양, 녹포자퇴와 녹포자 ▶ 향나무로 비산, 녹포자 ▶ 균사 상태로 월동

4) 진단특성

① 우리나라에서는 향나무와 배나무를 기주교대 하는 G.asiaticum 과 향나무와 사과나무를 기주교대하는 G.yamadae가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녹병균이다.

Gymnosporangium 속 균들은 여름포자세대를 형성하지 않는 대표적인 중세대형 녹병균이다.

5) 방제법

① 향나무 부근에는 배나무, 사과나무, 명자꽃, 산사나무, 산당화, 윤노리나무, 팥배나무 등 장미과 식물을 심지 않도록 하며, 향나무와는 서로 2km 이상 떨어져야 한다.

② 향나무에는 4~5월과 7월에, 중간기주인 장미과 식물에는 4월 ~6월에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800배액 또는 페나리몰 수화제 3,3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4회 이상 살포한다.

Telial stages of Gymnosporangium yamadae [출처 : Species diversity taxonomy and phylogeny of Gymnosporangium in China]

 

[참고문헌]
신고 수목병리학, 이종규 차병진 신현동 나용준, 향문사
수목의학, 이경준,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삼고 산림보호학, 김중국 외, 향문사
나무병해충도감, 문성철 이상길, 자연과생태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