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무의사 서술형 대비 요약 _ 1 비생물적 피해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by 리사앤마르코 _ LNM 2022. 6. 9. 20:33

본문

반응형

1. 고온 피해

온대지방의 경우 식물의 임계온도 : 0~35℃
기온이 35℃를 초과하면 온대지방 식물은 고온 피해를 보기 시작한다.
고온에 의한 피해는 세포막의 손상에서 비롯된다.
세포막에 있는 지방질의 액화단백질의 변성으로 세포막이 제 구실을 못해 물질이 새나온다.
특히 잎의 경우 엽록체를 구성하는 막이 기능을 상실하여 광합성을 수행하지 못한다.

1) 엽소 (잎타기, leaf scorch)

엽소피해 [출처:상주시 농업기술센터]

① 원인

잎이 열에 의해 타서 마름

여름철 반사열로 기온이 상승하여 50℃ 넘는 경우, 비가 오는 등 대기 습도가 높은 날씨 뒤에 갑자기 해가 떠서 맑아지는 등의 기상 변화가 있는 경우 발생. 온도가 높고 상대 습도가 낮아지는 오후 1∼2시경에 발생이 많음

남향, 서향 혹은 냉방기기의 환풍기 근처의 경우 더 악화 됨

양엽은 음엽보다 건조에 견디는 힘이 크지만, 여름철 고온이 지속되면서 일사량이 높을 경우 과다한 증산작용으로 탈수상태에서 피해가 나타남

내부적으로는 원형질 분리가 일어나며 세포막은 주름지고 세포는 수축되며 붕괴되는데,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 짐

② 병징

잎이 가장자리부터 마르기 시작하여 갈색으로 변함

잎의 가장자리는 뿌리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을 때 수분을 전달하는 엽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수분부족현상이 나타남

칠엽수, 단풍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와 한대성 수종인 주목, 잣나무, 전나무, 자작나무에서 자주 나타남

③ 방제

통풍으로 기온 상승을 막고, 토양에 관수하여 수분부족을 해소시켜주거나, 스프링클러로 잎의 온도를 낮춤

토양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하지 않고, 잔디를 입히거나 유기물 멀칭을 하여 복사열을 줄여줌

토양 개량과 유기물을 투입하여 뿌리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뿌리의 수분 흡수를 용이하도록 함

증산억제제를 이용하거나 뿌리의 신장을 촉진시켜 수분 흡수가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함

 

 

2) 피소 (볕데기, sun scald)

① 원인

여름철 오후 도로포장으로 지열이 반사되고, 건물에서 열이 반사되어 기온이 상승함

특히 수간의 남서쪽 수피가 오후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수피의 온도가 상승함

수분 부족이 함께 올 경우 증산작용으로 수간온도를 낮추지 못해 수피의 온도가 더욱 높아짐

② 병징

남서쪽에 노출된 지표면에 가까운 수피가 여름철 햇빛과 열에 의해 타서 형성층 조직이 죽어 벗겨지고, 그 속에 있는 목부 조직이 노출되는 현상을 피소라고 함

대게 수직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수피가 갈라지면서 괴사함으로써 수피가 지저분하게 됨

밀식재배하던 수목을 이식하여 단독으로 심어놓으면 이전에 그늘 속에 있던 수피부분이 햇빛에 노출되어 피소현상이 잘 나타남

특히 수피가 얇은 수종인 벚나무, 단풍나무, 목련, 매화나무, 물푸레나무, 배롱나무가 취약

③ 방제

수간의 아랫부분을 감싸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제법

지상 2m 이내 피소현상이 잘 생기므로 이 부분을 마대로 둥글게 싸고, 어린나무는 흰색 도포제(ex.석회유황합제)나 수성 페인트를 발라주기도 함

노출된 검은색 토양은 피소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토양을 유기물로 멀칭

피소 가능성을 줄이는 방법으로 관수가 있음

토양수분이 많아지면 증산작용을 촉진하여 수간에서 물이 계속하여 위로 이동하므로 냉각효과를 발휘하여 수피의 온도를 낮추게 됨

 


2. 토양 요인

1) 건조 (drought)

① 원인

건조 초기의 단순한 시들음은 야간에 수분상태가 좋아지면 회복이 가능

그러나 만성적인 건조는 광합성을 저조하게 만들며, 직경생장도 급격히 감소하여 나이테가 좁아지면서 위연륜을 만듬

대경목을 철저한 준비없이 마구 이식하고, 이식 후 제대로 관수하지 않는 관행으로 인해 건조피해가 많이 발생

② 병징

활엽수는 어린잎과 줄기의 시들음현상(위조, wilting)이 나타남

시들은 잎은 가장자리부터 갈색으로 고사하면서 말려들어감

오후 햇빛이 드는 남서향의 가지와 바람에 노출된 부분이 먼저 영향을 받는데 더 피해가 진전되면 낙엽이 짐

수목이 수분스트레스를 받으면 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새 가지 생장이 위축되어 엽면적(leaf area)이 감소하며, 가지 끝 부터 서서히 죽어 내려옴

침엽수는 건조피해가 초기에 잘 나타나지 않아 주의요함

소나무의 경우 건조저항성이 커서 가시적으로 잎이 쪼그라들고 연녹색이 될 때에는 이미 죽기 직전까지 도달한 상태여서, 관수를 하더라도 나무가 회복되지 않음

건조피해가 잘 나타나는 수목은 주로 천근성 수종이거나 토심이 낮은 곳에서 자라는 개체

건조 피해로 쉽게 잎이 말리거나 고사하는 수종은 단풍나무류, 마로니에,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가 있음

수분 부족으로 인한 잎과 줄기의 건조피해는 서서히 가지끝에서부터 나타남

전염성 병인 줄기마름병, 시들음병으로 인한 피해, 뿌리에 손상을 입은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을 보이므로 진단시 주의요함

③ 방제

건조 피해는 이식목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처음 2년 동안 수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회복하는데 5년까지 걸림

이식목의 건조피해를 막으려면, 이식하기 1~2년 전 뿌리 돌림, 충분한 근분 직경 유지, 이식 시 물구덩이 설치, 이식 후 반드시 주기적 관수를 해야 함

 

 

2) 과습 (excess water, wet soil)

① 원인

토양 중에 수분과 산소가 알맞은 비율로 있어야 뿌리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음

토양 중에 수분이 너무 많으면 과습해지고 배수불량한 토양이 되며, 산소 부족으로 인해 뿌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함

진흙을 많이 함유한 토양에서 자주 발생함

② 병징

엽병(잎자루)이 누렇게 변하면서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먼저 나타남

뿌리에서 에틸렌 가스가 생산되어 잎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나타남

과습이 더 진행되면 잎이 작아지고 황화현상을 보이며 가지 생장이 둔화

더 진전되면 잎이 마르고 어린가지가 고사하며, 겨울철 동해에도 약함

주목에서는 검은색의 수종(edema)이 발생하여 마치 사마귀처럼 표피가 튀어나오기도 함

병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져 Phytophthora 병균에 의한 뿌리썩음병이 쉽게 생김

과습에 의한 뿌리 고사로 인해 지상부에서 나타나는 가장 확실한 후기 병징은 수관 꼭대기에서부터 가지가 밑으로 죽어 내려오면서 수관이 축소되는 현상

과습은 보통 1년 이내로 나무를 죽게 함

③ 방제

토양이 침수되었을 때, 5일 이내로 배수시키지 않으면 뿌리가 치명적인 피해를 받음

배수가 안되면 땅에 모래를 섞어 토성을 개량하거나, 명거배수 혹은 암거배수 시설을 통해 과습상태를 개선해야 함

부득이한 경우 과습 토양에서 잘 견디는 수종을 골라 식재함으로써 과습피해를 예방

일반적으로 활엽수가 침엽수보다 습한 토양에서 견디는 힘이 큼

 


3. 인위적 요인

1) 답압

① 원인

인간, 장비에 의해 표토가 다져진 토양 경화 현상

토양 공극이 낮아져 용적비중이 높아지고, 수분과 산소가 부족하여 뿌리 발달이 저조

② 병징

잎 왜소화, 가지 생장 둔화, 황화현상, 수관상부에서 부터 가지가 고사, 수관이 엉성해짐.

중장비에 의한 답압이 매우 심하게 이루어져 건축공사가 끝난 후 그 위 수목을 식재하면 수목생장이 거의 불가능 함.

③ 답압 측정

토양경도계 이용 답압 측정 : 토양경도지수 23~27mm에서 식물생육 장애 있음. 18~23mm 식물 생장에 적합

④ 방제

구멍이 있는 철판, 바크, 우드칩 등 다공성 유기물 등으로 5cm 이내 토양 멀칭

천공법 : 토양 표면에 구멍을 뚫고 모래, 유기물, 다공성 물질(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채움.

 

 

2) 복토

① 원인

공사과정 남은 흙을 나무 위 높이 15cm 이상 덮어 수목의 뿌리 호흡을 방해

복토 피해는 심식 피해와 동일하며 매우 느리게 진행되므로 땅 속에 묻힌 밑동 부분 수피가 썩기 시작하여 결국 나무가 죽게 됨. (땅속 묻힌 밑동의 수피가 습기로 썩으면서 탄수화물이 뿌리로 전달되지 못해 굶어 죽는 현상)

마을 정자목, 천연기념물 노거수 중 복토 피해 사례가 많음

② 병징

토양 산소 부족으로 뿌리 활력이 나빠지며 지상부 증상이 서서히 나타남

잎의 왜소화, 가지 생장 위축, 활엽수는 황화현상, 수관 축소, 맹아 발생

잔뿌리의 발달이 거의 없고, 뿌리 껍질이 힘없이 벗겨지며 죽어 있음 (땅 밑에 묻혀 있는 껍질이 완전히 썩어서 탄수화물 이동이 안되어 뿌리가 굶어 죽음)

침엽수의 경우 잎의 녹색이 퇴색, 양분과 에너지를 모두 소진할 때까지 잎에 병증이 없다가 별안간 말라 죽음

진흙으로 50cm 이상 복토시 2~3개월부터 잎의 황화현상이 나타나고, 모래로 복토하면 수년간 증세가 없기도 함

③ 방제

20cm 이상 복토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하며 복토를 발견하면 즉시 흙을 제거

흙 제거 후 식재면이 낮아지면 배수구를 만들거나 물 구배를 잡음

부득이한 경우 밑동 반경 60cm 이상 폭으로 마른 우물을 만들고, 유공관을 수레바퀴 살처럼 8방으로 설치한 후 자갈을 깔고 복토하여 나무 뿌리의 호흡을 도움

 


4. 극단적인 토양산도 (soil acidity)

1) 산성토양

① 원인

산성토양은 토양산도가 높은 토양으로 토양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수소 이온 농도가 높은 토양

산성토양에서는 무기양분 중 인, 칼슘, 마그네슘, 붕소가 불용성 형태로 존재하며, 식물이 중금속 중에서 알루미늄, 망간, 구리를 과다하게 흡수하여 독성을 나타내기 쉬움

② 병징

산도가 극단적일 때에는 무기양분의 흡수가 저해되고, 중금속에 의한 독성이 나타나며,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둔화되어, 양분 결핍 현상과 중금속에 의한 독성 피해가 동시에 나타남

인과 붕소 결핍현상으로 생장 둔화, 잎의 황화현상과 고사, 가지마름현상이 나타남

산성비로 토양 산성화가 진행되면 알루미늄에 의한 독성으로 세근 발달 억제, 칼슘과 마그네슘 결핍현상이 나타남. 북미와 유럽 공업단지 주변 숲에서 이로인한 산림쇠퇴현상이 나타남

③ 방제

석회석(CaCO3)이나 백운석(CaCO3 + MgCO3), 소석회(Ca(OH)2), 회분(wood ash)으로 pH를 높임

 

 

2) 해빙염(deicing salt)

① 원인

해빙염으로 사용되는 식염(NaCl)이나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여 나무에 염해가 생김

해빙염 피해는 겨울에도 잎이 있는 상록수에서 피해가 더 큼

② 병징

해빙염 피해는 상록수의 경우 봄이 오기 전 잎에 나타나고, 낙엽수는 봄이 지나서 나타남

침엽수는 잎끝에서부터 황화현상이 발생하고 갈색으로 변하며, 심하면 낙엽이 짐

낙엽수는 봄에 새싹이 나오면서 잎이 자라다가 잎 끝부분과 가장자리부터 황색으로 변하면서 갈색이 되어 마름

피해부위와 건전부위의 경계선이 뚜렷함

③ 방제

소금을 뿌리기 전 도로변의 토양을 비닐로 덮어 소금의 침투를 막음

상록수는 증산억제제를 보다 진하게 희석하여 보호막을 형성함

소금으로 인해 토양의 물리적 성질, 입단구조와 배수가 불량해지면 석고와 황을 사용.

도시 염해 피해 [출처 : www.waldwissen.net]

 


5. 농약

1) 제초제

① 원인

제초제는 옥신 계통을 고농도로 이용하므로 식물은 호르몬 대사 균형을 잃으며 피해가 나타남

두 가지 이상의 농약을 섞는 농약 혼용은 약효가 없어지거나 독성이 커지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지식이 요구됨

일반적으로 유제형태인 살충제와 수화제 형태의 살균제를 섞으면 응집하여 약해가 나타남

유기인계 혹은 카바메이트계 농약과 알칼리성인 석회보르도액이나 석회황합제를 섞으면 약효가 없어짐

② 병징

피해를 받은 잎에서 말림, 뒤틀림, 기형, 왜소화, 변색, 황화, 반점, 부분괴사, 전체고사, 낙엽 등이 증세로 나타남

③ 방제

제초제는 보통 반감기가 90일 이상되므로 피해가 2년간 지속되기도 하며, 이 경우 관수로 잔류 농약을 씻어냄

활성탄, 부엽토, 완숙퇴비를 토양속에 넣어 농약을 흡착시켜 농약의 농도를 낮춤

 

[참고문헌]
수목의학, 이경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