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아강, 유시아강[고시류, 신시류(외시류, 내시류)]
- 톡토기목 : 1끈끈이관, 3걸쇠, 4도약기 5생식공.
- 낫발이목 : 눈,더듬이,날개가 없고, 다리가 더듬이 역할. 증절변태로 애벌레시기에 탈피하면서 배마디수 증가.
- 돌좀목
- 좀목 : 성충이 된 후에도 주기적으로 탈피.
날개가 접히지 않음. 유충의 수서생활
- 하루살이목
- 잠자리목 : 포식. 아가미가 직장 내부에 위치.
날개가 접힘
ㄱ. 외시류 (불완전변태류, 번데기가 없음)
ⓐ 바퀴목 : 앞날개 혁질, 뒷날개 막질. 알주머니(바퀴류와 포식성 사마귀만 발견됨). 야행성 분해자.
ⓑ 사마귀목 : 머리= 삼각형 발달 겹눈, 사마귀는 주행성 포식자.
ⓒ 대벌레목 : 식식성, 날개퇴화(일부 열대종 제외), 알을 엄청난 높이에서 낱개로 지면에 떨어뜨림.
ⓓ 메뚜기목 : 앞날개 좁고, 가죽날개. 뒷날개 부채모양.
ⓔ 흰개미붙이목 : 수컷만 날개 有. 실크 생산 샘 有.
ⓕ 강도래목 : 약충은 수질오염 지표. 성충이되면 아가미 없어지고 흔적 남음. 성충은 잘 날지못함.
ⓖ 털이목
ⓗ 민벌레목 : 국내에는 없음. 날개는 퇴화.
ⓘ 흰개미목 : 목재해충. 계급별 형태다른 다형종. 사회생활. 촉각은 염주모양. 장내공생균이 나무의 셀룰로오스 분해.
ⓙ 총채벌레목 : 미성숙충 날개無. 성숙충 날개有. 비단고치로 연장된 변태형태(과변태). 많은 종이 단위생식. 흡즙성해충. 혹은 다른 절지동물을 잡아먹는 포식성.
ⓚ 노린재목 : 노린재아목(주요해충, 미성숙충 날개 無), 매미아목(흡즙성해충, 소화계부분 여과실로 변형 > 감로분비 >개미꼬임)
ⓛ 매미목 : 진딧물, 깍지벌레, 매미충 등. 흡즙성해충. 감로로 그을음병 유발.
ㄴ. 내시류 (완전변태류, 번데기가 있어 유충과 성충이 크게 다름) - 약먹고 잠자나 벌딱일어나 부채 날로 파리 밑에 벼룩잡자
ⓐ 약대벌레목
ⓑ 풀(뱀)잠자리목 : 풀잠자리, 개미귀신 (풀잠자리목 유충은 포식자로서 유익함)
ⓒ 나비목 : 나비(쉴때 날개 몸과 수직), 나방(쉴때 날개 몸과 수평)
ⓓ 벌목
ⓔ 딱정벌레목 : 딱정벌레, 바구미. 유충3가지(좀붙이형, 굼벵이형, 방아벌레형)
ⓕ 부채벌레목 : 첫번째 영기 다리와 고도의 운동성. 이후 영기 다리X 굼벵이모양. 내부기생자. 과변태. 암컷성충 다리,날개 X. 수컷성충 큰부채모양뒷날개. 곤봉모양 앞날개. (딱정벌레목과 부채몰레목의 수컷만이 뒷날개가 앞날개보다 크고, 비행중 대부분 양력 제공)
ⓖ 날도래목 : 유충(씹는형), 성충(흔적적). 날개는 쉴때 복부쪽에 텐트모양으로 놓음.
ⓗ 파리목 : 장구벌레형(씹는형), 구더기형(입갈고리형). 뒷날개는 축소되어 평균곤. 외부기생자. 모기, 파리, 각다귀, 등애.
ⓘ 밑들이목 : 수컷의 생식기가 전갈의 꼬리처럼 굽어있음. 유충은 땅속에서 삼.
ⓙ 벼룩목 : 유충(씹는형) > 성충(빠는형), 외부기생자. 뒷다리 넓쩍마디 확대 : 뛰기에 적합함.
나무의사 수목해충학 요약 _ 2 곤충의 구조와 기능 (0) | 2022.05.09 |
---|---|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요약 _ 3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선충, 바이러스 (0) | 2022.05.06 |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요약 _ 2 곰팡이 병해 (0) | 2022.05.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