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내생균류 : 피층세포내 존재, 접합균문, 후벽포자
ㄴ. 외생균류 : 담자균문, 자낭균문
- Hartig net 형성 : 소나무과, 참나무과, 자작나무과, 피나무과, 버드나무과
- 오리나무, 버드나무, 유칼리 : 내,외생균 같이 존재
Phytophthora spp. Rhizinaundulata, Rhizoctonia solani, Fusarium, Phythium spp.
ㄱ. 모잘록병 : Phythium spp. Rhizoctonia solani
ㄴ.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 : Phytophtora cactorum, P. cinnamomi
ㄷ. 리지나뿌리썩음병 : Rhizina undulata
뿌리썩음병, 시들음병(Verticillium, Fusarium) : 조직 특이적 병.
ㄱ.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Armillaria mellea, A. ostoyae) :담자균아문, 6월부터 잎 전체가 갈색, 초가을 뽕나무버섯.
ㄴ. 안노섬뿌리썩음병 (Heterobasidion annosum) : 담자균문, 밀집지역 발생, 적송과 가문비나무 감수성.
ㄷ. 자줏빛날개무늬병 (Heterobasidion mompa) : 담자균목이목, 자색 자실체, 개간 과수원, 석회살포 토양산도조절(예방)
ㄹ. 흰날개무늬병 (Rosellinia necatrix) : 자낭균 꼬투리버섯목, 10년이상된 과수원.
ㄱ. 밤나무 줄기마름병 (Cryphonectria parasitica (Murril) Barr) : 동양 풍토병, 1900's 동양>미국, 유럽 밤나무림 황폐화.
ㄴ. 밤나무 잉크병 (Phytophtora katsurae) : 수피 갈라진 틈으로 검은색 액체 흘러나옴.
ㄷ. 밤나무 가지마름병 (Botryosphaeria dothidea ces&de Nor)
ㄹ. 포플러류 줄기마름병
ㅁ. 오동나무 줄기마름병 (Valsa paulowniae) : 부란병으로 알려짐, 치명적인 병해. 자낭각(8월~이듬해 4월).
ㅂ. 호두나무 검은돌기가지마름병 (Melanconis juglandis) : 포자 빗물에 씻겨 흘러 잉크를 뿌린듯 보임.
ㅅ. Nectria 궤양병 (Nectria galligena Bress) : 다년생 윤문 형성 (둥근모양의 궤양)
ㅇ. Hypoxylon 궤양병 (Hypoxylon mammatum) : 유성세대 감염 후 2~3년 자좌와 자낭각 (흰색 → 검은색)
ㅈ. Scleroderris 궤양병 (Gremmeniella abietina) : 자낭반형성, 침엽기부 노랗게 변함. 기주는 적송과 방크스소나무.
ㅊ. 소나무류 수제궤양병 (송진가지, 푸사리움마름병 Fusarium circinatum) : 농약방제 불가능, 수지가 흘러내림. 기주는 리기다, 곰솔, 테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ㅋ. 소나무피목가지마름병 (Cenangium ferruginosum) : 자낭반 형성, 검은색의 자실체 다수 형성.
느삼포무명(왜)벚소 배족때모과두멀쥐
느티나무 갈색무늬병 (Pseudocercospora zelkowae)
삼나무 붉은마름병 (Passalora sequoiae)
포플러 갈색무늬병 (Pseudocercospora salicina)
무궁화 점무늬병 (Pseudocercospora abemoschi)
명자꽃점무늬병 (Pseudocercospora cydoniae)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Mycosphaerella cerasella)
소나무 잎마름병 (Mycosphaerella gibsonii)
배롱나무 갈색무늬병, 족제비싸리 점무늬병, 때죽나무 점무늬병, 모과나무 점무늬병, 두릅나무 뒷면모무늬병, 멀구슬나무 갈색무늬병, 쥐똥나무 둥근무늬병
corynespora cassiicola
소나무 갈색무늬 잎마름병 (Lecanosticta acicula)
소나무 디플로디아순마름병 (Sphaeropsis sapinea / Dipolodia pinea)
ㄱ. Marssonina에 의한 병 : 불완전균아문 유각균강 분생포자반균
- 포플러 점무늬잎떨림병 (Marssonina brunnea) : 이태리계 포플러 감수성 / 은백양과 은사시나무류는 저항성.
- 참나무 갈색둥근무늬병 (Marssonina martinii)
- 장미 검은 무늬병 (M.rosae) : 마르소니나중 유일하게 자낭각으로 월동
ㄴ. Entomosporium에 의한 병
-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E. mespili)
- 채진목점무늬병 (E. mespili)
분생포자 중앙 3세포는 착색, 양쪽 세포는 무색이고 부속사가 있음 ─□■■■□─
은행나무 잎마름병 (Pestalotiosis ginkgo)
삼나무 잎마름병 (P. gladicola)
동백나무 겹무늬병 (P. guepini)
철쭉류 잎마름병 (Pestalotiosis spp.)
움푹파고 들어가 흑갈색 병반 형성, 거의 모든 과실 발생, 분생포자반 내 강모 형성.
호두나무 탄저병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사철나무 탄저병 (Gloeosporium euonymicola)
개암나무 탄저병 (Monostichella)
동백나무 탄저병 (Collectotrichum sp.)
오동나무 탄저병 (Collectotricum kawakamii)
버즘나무 탄저병 (Apiognomonia veneta)
두릅나무 더뎅이병 (Elsinoe araliae)
오리나무 갈색무늬병 (Septoria alni)
느티나무 흰별무늬병 (Septoria beliceae)
밤나무 갈색점무늬병 (Septoria quercus)
가중나무 갈색무늬병 (Septoria sp.)
자작나무 갈색무늬병 (Septoria betulae)
엽진병 Lophodermium spp.
Septotis populiperda
Guignardia aesculi
Exobasidium spp. 균사상태로 월동.
Rhytisma acerinum 아황산가스에 민감. 밀집지역 발생 안함. 단풍나무,버드나무,인동덩굴
Erysiphe : 양버즘나무, 사철나무, 목련, 쥐똥나무류, 인동, 꽃댕강나무, 단풍나무류, 배롱나무, 꽃개오동
Sawadaea : 모감주
Podosphaera : 장미, 조팝나무
Pseudoidium : 수국
Phyllactinia : 뒷면에 발생
Ⅰ 녹병정자 유성생식 n 곤충유혹
Ⅱ 녹포자 기주교대 n + n 녹포자기
Ⅲ 여름포자 반복감염 n + n 여름포자퇴
Ⅳ 겨울포자 월동 n+n→ 2n 담자기1개(담자포자4)
Ⅳ 담자포자 기주교대 n 무색단핵포자
잎이 황색(녹포자기)으로 변하고, 포자의 비산이 끝나면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죽음.
병원균 / 기주 / 중간기주
Coleosporium asterum / 소나무, 잣나무 / 참취, 개미취, 과꽃, 개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Coleosporium eupatoril / 잣나무 / 등골나물
Coleosporium campanulae / 소나무 / 금강초롱꽃, 넓은잔대
Coleosporium phenllodendri / 소나무 / 넓은잎황벽나무, 황벽나무
Coleosporium zanthoxyli / 곰솔 / 산초나무
Cronartium ribicola
섬잣나무와 눈잣나무는 저항성 / 스트로브스잣나무 큰피해. 15년생 이하 나무 발생
Cronatium flaccidum
중간기주 : 작약, 모란
Cronartium quercuum
참나무속이 중간기주.
여름포자만을 갖지 않는 녹병균.
기주(향나무, 버드나무, 포플러)에서 여름포자와 겨울포자 / 중간기주(배나무, 사과나무, 낙엽송, 현호색)에서 녹병포자, 녹포자.
병원균 / 기주 / 중간기주
Gymnosporangium asiaticum / 향나무류(잎) / 배나무류, 명자나무, 산당화, 모과나무, 산사나무
G. yamadae / 향나무류(잎) / 사과나무, 꽃사과
G. japonicum / 향나무류(줄기, 가지) / 윤노리나무
G. cornutum / 노간주나무(가지, 줄기) / 팥배나무
버드나무 잎녹병 (Melampsore capraearum) : 중간기주 일본잎갈나무 / 따뜻한 지역에서 여름포자로 월동.
포플러 잎녹병 (Melampsore larici-populina) : 중간기주 일본잎갈나무(낙엽송)
(Melampsore magnusiana) : 중간기주 일본잎갈나무, 현호색
Ophiostoma ulmi
자낭균문, 유럽느릅나무좀(매개충)
최근형성된 도관 가해, 아래방향으로 증식, 아시아계통 저항성.
Raffaelea quercus-mongolicae
2004년 성남, 신갈나무
광릉긴나무좀 매개충 도관 가해. 하부에서 지상 2m 이내 가해.
Ceratocystis fagacearum
미국. nitidulid 나무이(매개충), 균사매트 달콤한 향에 유입.
Verticillium dahlia
뿌리상처를 통해 감염.
백색부후균 (담자균) : cellulose(hemicelluose 포함)와 lignin 모두 분해. 활엽수 더 흔하게 발견.
갈색부후균 (담자균) : cellulose 분해, lignin 분해 못함. 침엽수 더 흔하게 관찰.
연부균 (자낭균) : cellulose 분해, lignin 분해 못함. 표면을 분해(연해짐), 내부는 건전상태 유지. 함수율 높을때 발생.
목재변색 오염균(목재의 질과 강도에는 변함 없음) : Penicillium(녹색, 누런색), Aspergillus(검은색, 녹색), Fusarium(붉은색), Rhizopus(회색)
↓ 수목병리학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보러가기 ↓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요약 _ 3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선충, 바이러스
1. 세균성 식물병 세균성 식물병의 병징 Agrobacterium : 뿌리혹, 가지혹, 줄기혹, 털뿌리 Clavibacter : 감자둘레썩음병, 토마토궤양 및 시들음, 과일점무늬, 접합대생 Erwinia : 마름, 시들음, 무름 Pseudomona
garden-of-lnm.tistory.com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요약 _ 3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선충, 바이러스 (0) | 2022.05.06 |
---|---|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요약 _ 1 곰팡이 (0) | 2022.05.02 |
나무의사 수목생리학 요약 _ 16 스트레스생리 (0) | 2022.05.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