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멸종위기종의 보전은 어떻게 이뤄지나?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Plants-related Issues

by 리사앤마르코 _ LNM 2021. 10. 1. 10:42

본문

생물종의 멸종

생물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종을 보전하기 위한 액션도 필요하지만 대중에 대한 교육도 필수적이다.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해야 효과적인 보전을 할 수있는 시작점이기 때문이다. 또한 생물종의 보전이 자연의 보전이며 지구를 지키는 일이다. 누군가 기후변화가 정말 심각하냐고 묻는다면, 생물의 멸종은 계속되어져 왔는데 무엇이 문제냐고 반론을 제기한다면 이렇게 이야기하곤한다. "생물의 멸종은 자연적인 현상이며 지속적으로 진행되 왔지만 근래들어서 그 속도는 매우 가속도화 되었다고...."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생물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list)에 따르면 21년 10월 현재 기준으로 평가를 완료한 종중의 28%에 해당하는 38,500종이 넘는 생물이 지구상에서 멸종위기에 처해져있다고 한다.  지속적으로 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멸종위기종의 비율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UCN RED LIST 홈페이지에 게시된 생물의 멸종 현황

https://www.iucnredlist.org/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Established in 1964,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as evolved to become the world’s most comprehensive information source on the global conservation status of animal, fungi and plant species.

www.iucnredlist.org

생물종의 세계적인 관점에서의 평가내용과 멸종위기 등급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를 참고하시면 된다.

이 글에서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의 보전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지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야생생물 포털에 명시된 내용을 공유해보려 한다. 멸종위기야생생물 포털에 대한 내용은 해당글을 참고하시면 된다.

2021.09.28 -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Plants-related Issues] -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과 멸종위기야생생물 포털

멸종위기종의 보전

멸종위기 위협에 처한 종을 보전하고 복원, 증식하기 위해서는 가장먼저 멸종위기종의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해당 종의 서식환경, 생태적 특성, 멸종위기에 처하게된 이유등을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진행된 기초연구를 토대로 멸종위기 위협요인을 제거해주고, 서식환경을 보호하거나 개선을 해주고 해당 종의 케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 포털

1. 생물, 생태학적 연구
- 멸종위기종의 분포 : 과거, 현재 분포를 파악하여야 한다.
- 개체군의 크기 : 보전 대상종의 개체군 크기를 알아야 한다.
- 개체군 변동 : 정기적인 조사를 통하여 보전대상종의 개체군 증감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위협요인 : 보전대상종에 치명적인 직간접적 위협요인을 파악한다.
- 생태 : 서식지에 필수적인 요구조건, 보전대상종의 먹이자원, 경쟁 생물과 공생 관계가 파악되어야 한다.
- 멸종 위험성 : 보전대상종 자체적인 생존능력을 분석하여야 한다.

2.위협요인 관리
- 직접적 위협요인 도출 및 제거 : 밀렵, 남획 방지, 치명적인 오염물질 등의 제거, 인위적 접근 방지 등 조치를 취한다.

3.개체군 관리
- 서식지 외() 보전 및 복원
 :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 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적인 이유로 인하여 기존 서식지내에서 더이상 살아갈 수 없는 경우에는 이 종의 서식지와 비슷한 환경이나 동물원, 식물원등의 시설에 도입하여 보전한다.
 (1) 인공증식 및 사육 관리 : 대상 종 서식지외 도입, 인공증식 
 (2) 유전자 자원 확보 : 생체 시료, 유전 자원 확보
 (3) 보전 이주(Conservation translocation) : 재도입, 재강화 등 복원사업 실시
- 서식지 내() 보전 및 관리
 : 멸종위기종이 기존 서식지내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다고 판단되면 서식지 안에서의 보전을 유도한다.
 (1) 번식률 관리 : 인공둥지, 인공서식지 설치, 번식지 보호
 (2) 생존율 관리 : 병해충, 기생충 관리, 먹이 제공 등

4.서식지 관리
 - 서식지 보호
 (1) 보호구역 설정 : 국립공원, 도립공원, 야생동물보호지역 지정 등
 (2) 주요 서식지 및 자원 보호 지정 : 번식지, 수계, 먹이 자원 보호 지정 및 활용 금지
 - 서식지 보전 및 복원
 (1) 서식지 관리 : 서식지 유지관리, 관리인력 확보 등
 (2) 주요 서식지 및 자원 복원
 - 대체서식지 조성, 조림, 은신처 조성 등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