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무의사 수목병리학 _ 오답문제 정리-1

Garden, Botanical garden, Arboretum/Tree Doctor

by 리사앤마르코 _ LNM 2022. 5. 15. 15:54

본문

반응형

병해

수목병 진단

1) 수목병의 생물적 원인과 내용 연결이 틀린 것은? - 곰팡이 : 점무늬병,탄저병, 뿌리혹병 ▷ 세균

곰팡이 : 점무늬병, 탄저병, 깜부기병, 녹병, 버섯, 목재부후균, 떡병
세균 : 불마름병, 잎가마름병, 감귤궤양병, 뿌리혹병, 세균성궤양병
파이토플라스마 : 빗자루병, 오갈병
기생성종자식물 : 새삼, 겨우살이, 칡
원생동물 : 코코넛야자 hartrot 병

2) 수목병 진단방법에서 틀린 것은? - 분자생물학적 진단은 DNA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ELISA법을 이용하여 병원균을 동정한다.

배양적 진단 : 여과지 습실 처리법 - 수입종자 검역
생리화학적 진단 : 황산구리법 - 바이러스 진단
분자생물학적 진단 : DNA 추출 후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
면역학적 진단 : 효소결합항체법 ELISA

주사전자현미경 : 반사된 전자빔 포획하여 상 형성. 균류 표면정보를 얻는데 이용.
고배율광학현미경 : 수목병 병원균 관찰할 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현미경.
실체현미경 : 수목병의 표징을 관찰할 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현미경.

3) 수목병 병징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 잎자루나 잎맥의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더 많이 자라게 하여 잎 아래쪽이 처지거나 쭈글쭈글하게 오그라드는 현상은 이상증식이다. ▶ 상편생장. 이상증식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분열을 뜻함.

잎맥이 물에 젖은 듯 투명하게 보이는 것 : 주로 바이러스 감염, 모자이크병

4) 병징만 나타나고 표징이 나타나지 않는 수목병은? - 뽕나무 오갈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붉나무 빗자루병, 쥐똥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병징 symptom: 기주식물에 나타나는 기능장애로 조직,기관에 형태적, 생리적 이상이 생겨서 외부로 나타나는 반응.
표징 sign: 감염한 병원체가 증식하여 병원체 전체 또는 일부가 겉으로 드러나 확인할 수 있는 것.

곰팡이

1) 곰팡이의 일반적인 동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toluidine blue의 조직염색에 의한 광학현미경기법을 사용한다.

파이토플라즈마 : toluidine blue의 조직염색, DAPI(형광염색소 사용)
포자 : 고배율광학현미경

2) 난균강에 속하는 수목병균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난균강은 격벽이 있는 다핵균사.

격벽이 있는 균 : 자낭균(단일격벽공), 담자균(유연격벽공), 불완전균문
균사는 모두 세포벽이 있으며, 격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난균강은 색조류계.

3) 다음 중 자낭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반자낭균강은 자낭과를 형성하지 않고 병반위에 나출되며 자낭은 단일벽이며 식물병원균으로는 Taphrina속과 목재부후균의 대부분 여기 속함.

목재부후균은 담자균.
반자낭균강 : Taphrina속과 대부분의 효모류 Saccharomyces

주요 수목병

1) 세계 3대 수목 유행병 - 오엽송류털녹병, 느릅나무시들음병, 밤나무줄기마름병
2) 수목병 발견 연도와 발생지가 틀린 것은? - 소나무류송진가지마름병 / 2002년 ▷ 1996년 / 인천

1936 잣나무털녹병 / 가평
1950 대추나무빗자루병 / 보은
1956 포플러류 녹병
1967 오동나무 빗자루병
1988 소나무재선충병 / 부산
1996 소나무류송진가지마름병 / 인천
2004 참나무시들음병 / 성남

기타

1) 병원균의 한종이나 한 분화형 또는 변종 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대한 기생성이 다른 것은 무엇이라고 하는가? - 레이스

파이토알렉신 : 감염저해작용
교차방어 : 처음에 접종한 바이러스가 나중에 접종된 근연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 작용
박테리오파지 : 세균에 기생하여 증식하는 바이러스
분화형 : 병원균의 종은 교잡, 돌연변이 등 다른 많은 분화형이 발생함
레이스(race) : 한 종이나 한 분화형 또는 변종(variety) 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대한 기생성(병원성)이 다른 것(개체군)

2) 다음 중 수목병의 화학적 방제 설명에 옳지 않은 것은? - 상처도포제로 톱신페스토와 클로르피크린을 사용한다.

보호살균제 : 석회보르도액 등
훈증제 : 클로르피크린
병원균의 균사억제사멸 가능약제 : 테부코나졸, 베노밀.


뿌리병해

모잘록병

1) 모잘록병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병원균은 Phythium spp.와 Rhizoctonia solani는 다핵이다.

Rhizoctonia, Sclerotium : 불완전균류 무포자균(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균사만 형성), 단핵균사
Phytium : 난균류 격벽이 없는 다핵균사. 세포벽은 글루칸.
Fusarium 균은 건조한 토양에서 잘 발생함.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1)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수목에는 피해를 주나 초본류에는 피해를 주지 않는다.

초본류에도 피해를 준다.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 : 담자균문, 기주우점병(아말라리아뿌리썩음병, 안노섬뿌리썩음병, 자주빛날개무늬병, 흰날개무늬병)

안노섬뿌리썩음병

1) 다음 중 수목에 병을 일으키는 곰팡이의 포자 및 균사체의 생존기간이 제일 긴 것은? - Heterobasidion annosum

Heterobasidion annosum 균사체 63년, 담자포자 18개월 이상

자주빛날개무늬병

1) 자주빛날개무늬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병원균은 Heterobasidium mompa는 자낭균아목에 속하며 자실체가 헝겊처럼 땅에 깔리는 모습이다.

Heterobasidium mompa는 담자균이다.
활엽수, 침엽수 모두 발생. 고온기에 심한 시들음 현상.


줄기 병해 - 거의 다 자낭각, 아닌것을 외울 것!

1) 줄기에 생기는 궤양의 종류 및 병해 설명 중 틀린 것은? - 궤양마름은 죽지는 않는다.

윤문형 : 궤양표면과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많고, 둥근 모양 궤양.
확산형 : 병원균 이동이 윤문형보다 빨라 가장자리 유합조직이 거의 없고, 감염 후 몇년 내로 환상박피가 일어남.
궤양마름 : 아주 급속히 발달하므로 가지나 수목 전체가 1~2년 내로 죽기도 함.

밤나무줄기마름병 Cryphonectria parasitica

1) 밤나무 줄기마름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병원균은 Cryphonectria parasitica로 북아메리카에서 유입, 아시아에는 존재하지 않음.

원래 아시아에 존재.
일본밤나무, 중국밤나무는 대체로 저항성. 저항성품종으로 이평, 은기. 감수성품종 옥광 피함.
주된 병징 : 껍질부위의 궤양, 잎의 시들음.
병환부에는 적황색 또는 등황색을 띈 무성세대의 분생포자각유성세대의 자낭각이 형성됨.
방제방법 : dsRNA바이러스를 가진 저병원성균주 이용
장마가 끝난 후 밤나무 줄기에서 돼지꼬리모양의 spore horn(포자각)이 많이 관찰 됨.

2) 밤나무 줄기마름병에 대해 옳은 것은? - 저병원성균주인 dsRNA바이러스로 치료가 가능하다.

병원균은 Cryphonectria parasitica
원래 아시에 존재하던 병으로 1900년대 북미로 유입.
황갈색의 자낭각을 형성.
밤나무줄기마름병 [출처 : iucngisd.org, forestfloornarrative.com]

3) 밤나무줄기마름병의 병징, 병환으로 틀린 것은? - 거칠게 갈라터진 병든 부위의 수피를 떼어내면 백색의 두툼한 균사판이 나타난다. ▶ 황색!!

가지나 줄기에 생긴 상처에 병반 형성 - 수피가 황갈색 내지 적갈색으로 변함
유합조직이 형성되기도 하고 암종모양으로 부풀고 길이 방향으로 균열이 생김
병든 부분이 줄기를 한바퀴 돌면 윗부분은 말라 죽지만 뿌리는 살아있어 맹아가 발생함
병원균은 죽은 나무에서 자실체로 월동한 후 이듬해 봄부터 늦가을까지 포자로 감염됨

4)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생하여 경제손실을 입힌 수목병이 아닌 것? - Cryphonectria parasitica 밤나무 줄기마름병

밤나무 잉크병 Phytophthora katsurae

1) 밤나무 잉크병 설명 중 잘못 된 것? -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임지에서 분생포자가 뿌리를 가해한다. ▶ 유주포자

난균강 병원균의 유주포자가 뿌리를 가해한다.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 Cennangium ferrunginosum

1)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에 대해 옳은 것은? - 해충피해 기상변동 등 수세가 약해지면 집단발병한다.

병원균은 자낭반 형성. 송진이 적게 누출됨.
자낭 내에 형성된 자낭포자수가 8개.
병든 부위에 수피를 벗기면 황갈색 균사체를 쉽게 발견할 수 있음.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 죽은가지 및 줄기 피목에 암갈색의 자낭반이 형성됨.
건강한 나무에는 침입할 수 없는 약한병원성.
소나무피목가지마름병 Cenangium ferruginosum [출처 : alchetron.com, 산림청]

2)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에 걸린 잣나무에서 관찰되는 표징으로 옳은 것은? - 자낭반

소나무류 피목가지마름병은 자낭균아목 자낭반균강
병원균은 감염성 무성포자를 않으므로 최초감염은 유성포자인 자낭포자에 의해 일어남.

소나무류 수지궤양병 Fusarium circinatum

1) 소나무류 수지궤양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종자에 의해 전염되지 않는다. ▶ 종자전염 됨.

소나무류 수지궤양병 = 송진가지마름병
종자전염. 종자 소독으로 병원균을 제거함. 농약방제 불가능.
소나무혹병(녹병)과 생육적으로 관련 있음.
송진가지마름병 = 푸사리움가지마름병. 불완전균문

2) 소나무류 수지궤양병에 걸린 리기다소나무에 나타나는 표징으로 옳은 것은? - 분생포자좌

종자로 전염되며, 녹병과 생태적으로 관련이 있음.
감염된 목질부가 수지로 젖는 특징이 있음.
분생포자좌가 1년내내 형성됨.

3) 소나무류 수지궤양병에 걸린 리기다 소나무에서 표징을 관찰할 수 있는 부위는? - 1년생 가지의 엽흔

감염된 부위의 목질부가 수지로 젖게되는 특징은 이병의 결정적인 key.
병에 걸린 1~2년생 가지의 엽흔에는 6~8월 직경 1~2mm되는 노란색~옅은 분홍색 분생포자좌가 나타남.

소나무 가지끝마름병 Sphaerosis sapinea

1) 소나무가지끝마름병 설명 중 틀린 것은? - 검은색 분생포자반이 기주조직을 뚫고 나온다. ▶ 분생포자각

가지 끝 분생포자각★ 형성
= 디플로디아 순마름병. 새 가지, 새 잎이 말라죽어 밑으로 처짐.


잎 병해

Cercospora에 의한 병

1) Cercospora 병해 기술 중 틀린 것은? - Cercospora류의 곰팡이는 잎의 병원체이며 잎 외의 다른 곳은 침해하지 않는다. ▶ 어린 줄기까지 침해한다.

잎마름병, 갈색무늬병 / 느삼포무명벚소배족때모두멀쥐
병반 위에 분생포자경과 분생포자가 밀생. 잎에서 월동한 병원균(분생포자 or 자낭포자)이 1차 전염원.
불완전아문 총생균강 / 유성세대는 모두 소방자낭균강(2중벽) : Mycosphaerella

2) 포플러 갈색무늬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병든 낙엽에서 월동한 후 자낭반을 형성, 자낭포자를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 병원균은 병든낙엽에서 월동 후 자낭각을 형성한다.
3) Pseudocercospora 속 수목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모과나무 점무늬병은 붉은병무늬병도 많이 발생하나 붉은병무늬병은 8~9월에 점무늬병은 5~6월에 주로 발생한다. ▶ 붉은별무늬병은 5~6월에 점무늬병은 8~9월에 발생한다.

Hyphomycetes에 의한 병

1) 소나무 갈색무늬잎마름병과 디플로디아순마름병 설명으로 틀린 것은? 소나무류 디플로디아순마름병의 분생포자반의 분생포자가 봄비에 비산되어 전염된다. ▶ 디플로디아순마름병은 분생포자반의 분생포자각이 봄비에 비산되어 전염된다.

소나무 갈색무늬잎마름병 Lecanosticta acicula
소나무 디플로디아순마름병(=가지끝마름병) Sphaeropsis / Diplodia

Marssonina에 의한 병

1) Marssoninaa 속의 수목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포플러류 무늬잎떨림병,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장미검은무늬병이 있다. ▶ 홍가시나무 점무늬병은 Entomosporium 속에 속한다.

Marssonina brunnea 포플러 점무늬잎떨림병
Marssonina martinii 참나무 갈색둥근무늬병 : 전세계적으로 참나무류에 발생하나 피해는 경미하다.
Marssonina rosae 장미 검은무늬병 : 잎에 검은색의 원형병반이 생기며 병반 주위는 황색이다.

Entomosporium에 의한 병

1) Entomosporium 병원균이 일으키는 병은? -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모감주 흰가루병 : Sawadaea koelreuteriae / 동백나무 겹둥근무늬병 : Pestalotiopsis guepini / 모과나무 점무늬병 : Pseudocercosporella chaenomelis / 벚나무 갈생무늬구멍병 : Mycosphaerella cerase /
Cercospra : 소나무 잎마름병, 삼나무 붉은마름병, 포플러갈색무늬병, 느티나무 갈색무늬병, 벚나무 갈색무늬구멍병.
Corynespore : 무궁화 점무늬병
Entomosporium 병해 : 홍가시나무 점무늬병, 채진목 점무늬병

2) Entomosporium속 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자낭균아문에 속하며 점무늬병을 일으킨다. ▶불완전아문목

Pestalotiopsis

1) Pestalotiopsis 속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 병반위에 육안으로 판단되는 검은포자가 형성된다.

회갈색포자가 형성됨. 불완전균은 불완전균아문 분생포자반균목 / 완전세대는 자낭균아문 각균강.
분생포자반에 짧은 분생포자경에 분생포자가 형성됨.
분생포자는 부속사를 가지고 있고, 가운데 세 세포가 착색되어 있음.
행나무 잎마름병, 나무 잎마름병, 백나무 겹둥근무늬병, 쭉류 잎마름병
Pestalotiopsis, 은행나무 잎마름병 [출처:위키백과, 산림청]

Collectotrichum에 의한 탄저병

1) 불완전균류 설명 중 틀린 것은? - 총생균강에는 분생포자좌나 분생포자경에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Alternaria, Aspergillus, Botrytis, Fusarium, Cercospora, Collectotrichum 등이 있다. ▶ Collectotrichum은 불완전균류 중 유각균강에 속함.

Collectotricum 완전세대는 Glomerella로 자낭균아문 각균강

Collectotrichum은 불완전균류 유각균강
유각균강 병해로는 분생포자각균목에 Septoria / 분생포자반균목에 Pestalotiopsis, Marssonina속이 있음.

2) Collectotrichum에 의한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탄저병균은 적갈색의 병반이 돌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 기주에서 움푹 들어가고 흑갈색의 병반이 돌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Collectotrichum [출처: 위키백과, wikidata]

3) 수목 탄저병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 개암나무탄저병은 Glomerella속에 속한다. ▶ Monostichella속

호두나무 탄저병 Glomerella속
사철나무 탄저병, 동백나무 탄저병, 오동나무 탄저병 Collectotrichum
개암나무 탄저병 Monostichella 속
버즘나무 탄저병 Apiognomonia 속

Septoria에 의한 병

1) Septoria속 수목병에 대한 기술로 잘못 된 것은? - 느티나무흰별무늬병은 조기낙엽을 일으킨다. ▶ 조기낙엽 없음.

리나무 갈색무늬병, 티나무 흰별무늬병, 나무 갈색점무늬병, 중나무 갈색무늬병, 작나무 갈색무늬병

소나무 잎떨림병 Lophodermium

1) 소나무 잎떨림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당년봄에 잎이 뜰어진다. ▶ 이듬해 봄 잎이 떨어진다.

3~5월에 묵은잎의 1/3 이상이 적갈색으로 변하며 대량으로 떨어지고 새순만 남게 된다.
병든 1년생 잎이 주로 5월에 떨어진다.

포플러잎마름병 / 칠엽수 얼룩무늬병

철쭉류 떡병 Exobasidium

1) 철쭉류 떡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처음에는 광택이 있으나 곧바로 자낭포자가 밀생하여 흰 가루로 뒤덮인 것처럼 보인다. ▶ 철쭉류 떡병은 담자균아문이다.

타르점무늬병 Rhytisma

1) 타르점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병원균은 Erisphe이며 오존가스에 민감하여 도시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병원균은 Rhytisma acerinum 이다. 자낭균아문 반균강이다.

흰가루병

1) 다음 중 흰가루병에 대한 기술 중 맞지 않은 것은? - 배양이 가능하다. ▶ 절대활물기생체로 배양이 불가능.

흰가루병균목은 절대기생체 배양이 불가능(노균병, 흰가루병, 녹병균, 무사마귀병균). 기주 특이성이 있음.
Erysiphe, Saawadaea, Podosphaera, Pseudodium, Phyllactinia
조팝나무 흰가루병은 5월에 발생. 다른수종에 비해 일찍 발견됨.
목련흰가루병은 자목련에 피해가 크다.

2) 흰가루병의 1차 전염원은? - 자낭포자

병원균의 자낭구가 어린 가지에 붙어서 월동하고,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됨.
늦가을, 이른 봄 자낭구가 붙은 어린가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1차감염은 월동 자낭포자에 의해 2차감염은 분생포자에 의해 일어난다.


녹병, 시들음병, 목재부후

중간기주

1) 다음 중 이종기생성 녹병균의 기주와 중간기주 연결이 잘못된 것은? - 소나무줄기녹병 _ 참취, 쑥부쟁이

소나무 줄기녹병 - 모란, 작약 / Cronartium flaccidum
소나무 잎녹병 - 참취, 황벽나무, 금강초롱꽃
소나무 혹병 - 참나무류(졸참, 신갈) / Cronartium quercuum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까치밥나무 / Cronartium ribicola
곰솔잎 녹병 - 산초나무
전나무 잎녹병 - 뱀고사리 / Uredinopsis komagatakensis : 침엽의 뒷면에 녹포자기가 2줄로 형성된다.
6철쭉잎녹병 - 산철쭉 / Chysomyxa rhododendri

2) 녹병균과 여름포자세대 중간 기주 연결이 잘못된 것은? - 향나무녹병 - 배나무 ▶향나무녹병은 여름포자세대가 없다.

잣나무털녹병

1) 수목병과 병원균이 다르게 짝지어진 것은? - 잣나무털녹병 Septoria betulae ▶잣나무털녹병 Cronartium ribicola, 자작나무 갈색무늬병Septoria betulae

잣나무 털녹병 Cronartium ribicola
세계 3대 수목병 / 섬잣나무,눈잣나무는 저항성 / 스트로브스잣나무 큰피해

2) 잣나무 털녹병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 수피가 흰색or회색으로 변하며 수지가 흘러 지저분하게 보인다 ▶ 수피가 노란색, 갈색으로 변한다.
3) 잣나무털녹병의 방제방법으로 틀린 것은? - 토양소독을 철저히 한다.
4) 잣나무털녹병에서 중간기주(송이풀)로 옮겨가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 녹포자

0 >> Ⅰ >> Ⅱ >> Ⅲ >> Ⅳ
n n+n n+n 2n n
녹병정자 >> 녹포자 >> 여름포자 >> 겨울포자 >> 담자포자
4-6월 2주후형성 8월중하순 낙엽전형성
송이풀침입 반복전염 잣나무침입

향나무 녹병 Gymnosporangium asiaticuum

1) 향나무 녹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중간기주인 배나무, 사과나무의 붉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같다.

배나무의 붉은별무늬병은 G. asiaticum이며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은 G.yamadae이다.

향나무에서 겨울포자(2n)발아, 담자포자(n)형성 >> 4-5월 장미과식물 이동 >> 6-7월 노란색 반점가운데 검은색 녹병정자기(n) >> 녹포자(n+n) >> 향나무 잎, 줄기로 이동하여 겨울월동.

2) 향나무녹병에서 중간기주에서 기주로 옮겨가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 녹포자

0 >> Ⅰ >> Ⅲ >> Ⅳ
n n+n 2n n
녹병정자 >> 녹포자 >> 겨울포자 >> 담자포자
6-7월 4-5월
향나무침입 배나무침입
잠복,월동

배나무 꽃피는 4월 향나무에서 병원균의 담자포자가 배나무로 활발하게 옮겨간다.

버드나무 잎녹병 Melampsore capraerum

1) 버드나무잎녹병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중간기주는 일본에서는 일본잎갈나무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되었다. ▶ 국내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다.

포플러 잎녹병 Melampsore laci-poulina 낙엽송 / Melampsore mangusiana 현호색

회화나무 녹병 Uromyces 동종기생성

참나무시들음병

1) 참나무시들음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은 2004년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 이전 기록이 있다.

병원균은 Raffaelea quercus-mongolicae. 병의 피해는 주로 신갈나무. 알코올 냄새.
주요 침입부위인 하부에서 지상 2m까지 끈끈이롤 트랩을 감아 침입과 탈출 방지.
유입된 병원균은 수목의 아랫방향으로 증식 이동하게 도니다.
병원균은 물관부에서 생장하며 물과 양분 이동을 방해한다.

미국 중남부에서 발생하는 Ceratocytis속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은 nitidulid 나무이 이다.

목재부후균, 목재변색균

1) 다년생 목재부후균은? - 잔나비불로초


세균병

1) 다음 중 화상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국내에서는 2015년 안성, 안동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세균병으로 장미과 과수에 발생하며 2015년 천안, 안성에서 처음 확인.
병징은 잎, 꽃, 가지가 불에 탄듯 검은색으로 변함.
방제약제는 보르도액과 스트렙토마이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검역금지 병해로 수입시 철저히 확인함.
세균은 진짜 핵을 가지지 않은 원핵생물. 막으로 둘러쌓인 세포소기관이 없음. [출처 : 신비한미생물학]

2) 식물 병원성 세균으로 옳은 것은? - 플라스미드는 세균과 세균사이의 이동이 가능하다.

세균은 원핵생물로 핵이 없다. (곰팡이는 잰핵생물)
최초로 발견된 식물세균병은 사과나무 불마름병이다. 세균은 물관부에 존재한다.

뿌리혹병 Agrobacterium은 그람음성균이다.
Corynebacterium계열의 5개속은 그람양성균이며 나머지는 모두 그람음성균이다.

염색체 DNA는 하나 이상의 작은 원형의 유전물질을 지니는데 플라스미드(plasmid)라고 한다.

3)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나무병은? - 밤나무 근두암종병

혹병=근두암종병 / 불마름병=화상병 / 잎가마름병 / 세균성궤양병 / 감귤궤양병(호기성)


바이러스 & 파이토플라스마

1) 파이토플라스마병과 바이러스병의 관련 설명 중 틀린 것은? - 파이토플라스마병은 테트라사이클린과 페니실린에 감수성이다.

파이토플라스마 : 테트라사이클린에 감수성, 페니실린에 저항성.
파이토플라스마 : 매미충류, 나무이, 멸구류등 매개충. 잠복기간(10~45일). 어린식몰 보독 잘됨. 경란전염 안됨.

2) 바이러스와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 설명 중 틀린 것은? - 파이토플라스마는 새로운 매개충내에서 약 10~45일간의 잠복기간이 필요하며 경란전염이 될 수 있음. ▶ 경란전염 없음.

파이토플라스마는 바이러스보다 크지만 세균보다는 작다.
파이토플라스마는 접목과 매개충으로 전염.
종자, 토양을 통해서 전염 안 됨.

바이러스는 전신 병원균으로 절대기생체.
세포 내 봉입체는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35~40℃, 7~12일간 열처리하면 바이러스 불활성화.

스피로플라스마-옥수수왜화병 / 바이로이드-코코야자나무카당카당병

3) 파이토플라스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세포벽과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질이 있다. ▶세포벽 없음

파이토프라스마는 인공배양 실패, 식물병원성 스피로플라스마는 인공배양 성공


선충

소나무재선충병(시들음병)

1) 소나무 재선충병 옳지 않은 것은? - 소나무은 감수성이 높고 곰솔은 저항성이 높다.

소나무, 곰솔, 잔나무 등 감수성. 리기다소나무, 테다소나무가 저항성.
선충은 절대활물기생체 대부분 1mm 내외로 육안으로 식별 어려움.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가 복합 전염시킴.
여름철 선충의 생육이 좋을때 생활사 주기는 4일


기생식물

1) 겨우살이가 큰 피해를 주는 기주는? - 참나무

활엽수, 특히 참나무류에 큰 피해를 줌. 상록활엽수, 침엽수에도 기생한다.
참나무류에 기생하는 겨우살이와 구과류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는 분류학적으로 다른 종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